동물은 물건이 아닙니다. 비인간 동물이 안전하고 존엄하게 존재할 수 있는 사회로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유튜브와 각종 sns 를 통해 쏟아지는 혐오 표현이 더 큰 산업과 폭력이 되지 않도록, 적절한 규제와 교육이 필요합니다.

공익제보자의 용기를 응원합니다.

세상을 밝히는 무지개 🏳️‍🌈🏳️‍⚧️

중구 외 24명 에게 촉구합니다.

안녕하세요. 늘 시민을 위해 열심히 일하시는 주무관님께 감사 드리며, 새를 사랑하는 시민으로서 간곡히 요청할 사안이 있어 이메일을 보냅니다.

유리창에 새가 부딪혀 죽는 일이 더 이상 없도록 구청 차원에서 계획을 수립하고 꾸준히 지켜나가 주세요!

지난 6월 11일부터 시행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야생생물법 개정안') 제8조의2에 따라, 앞으로는 공공기관이 건축물, 방음벽, 수로 등 인공구조물에 의한 야생동물 충돌⋅추락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저감조치를 시행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귀 구청에서도 개정된 야생생물법을 준수하여 더 이상 새들이 유리창에 부딪혀 죽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저감조치를 시행하고 모니터링해 주시길 시민으로서 요청 드립니다. 아직 예산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면 유리창 새 충돌을 막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예산 확보를 위해 애써 주시고 시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연관찰 플랫폼인 '네이처링' 내 '야생조류 유리창 충돌조사' 미션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4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조사된 서울시내 유리창 새 충돌 사고만 해도 2,558건에 달합니다. 이는 새 충돌 문제에 관심 있는 시민들이 각지에서 발생한 유리창 새 충돌 사고를 기록하여 모은 데이터이기 때문에 실제 충돌 건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요. 더욱이 서울시내에서 유리창 충돌 사고로 기록된 새의 종류는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둘기나 참새뿐 아니라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새매와 솔부엉이, 소쩍새,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참매, 이외에도 호랑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노랑딱새, 멧도요, 벙어리뻐꾸기, 흰눈썹황금새, 오색딱따구리, 파랑새 등 매우 다양합니다. 새 충돌 사고는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매일 일어납니다. 대도시라고, 우리 구에는 그런 민원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문제를 외면하지 마시고 관내 건물과 방음벽 주변에 충돌 사고가 없는지 모니터링부터 시작해 주십시오.

제 의견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장으로 의견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동물 살처분 동물 학대 공장식 축산
살아있는 존재를 향한 모든 폭력과 억압에 반대합니다.
변화의월담 프로그램에서 경험한 놀이와 움직임의 확장이 큰 감동으로 남아있습니다. 도심에서 새로운 길을 찾아가는 파쿠르가 떠오르기도 했어요. 아이도 어른도, 실패하고 같이 일어나는 경험을 자꾸 쌓으면 삶을 더 단단하게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요.
기후위기로 인해 더 큰 피해를 입는 이들을 위해 사회적 논의를 지속하고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해보입니다.
소소한 실천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행동을 숫자와 기록으로 구체화하고 함께 확인할 수 있어 고무적이네요!
아무리 공급을 늘리고 조건을 완화해도 현실적으로 모두가 청년안심주택에 입주할 수는 없기에 전반적인 주거 관련 제도를 안정화하고 임차인 권리를 보장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수익창출 방안이 부족해서 ‘제2의 클럽 하우스’가 될 거 같아요 ’스레드’의 개선 방향에 따라 달라지지 않을까요?
소셜미디어 산업 특성 상 변화가 빠르고 예측이 어렵지만, 아직까지는 '스레드'만의 고유한 문화와 커뮤니티가 자리를 잡지 못했다고 판단합니다.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개인의 실천 방법 아동 청소년의 권리를 지키는 기후위기 대응 방법
개인의 실천과 더불어 기업, 정부 역시 구체적인 실천 방안과 대응을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법적 규제 마련 🚩미디어 리터러시 강화
정보 문해력 교육과 법적 규제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AI가 재판에서 할 수 있는 역할에는 한계가 존재해요.
방대한 자료를 취합하고 분석하는 업무에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는 있겠지만, 결국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재판에서 어떤 판단을 내리기에는 아직까지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지역에 청년 세대가 자리를 잡고 삶과 일상을 이어갈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현실적인 정책 지원을 기대합니다.
마지막 문단에서 배달 노동자 분 인터뷰가 마음에 남습니다. 안전하고 평등한 노동 환경을 위해 명확한 데이터와 의견을 쌓아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폭염시 쪽방촌 등 온열질환 🚩장마철 침수 피해 🚩겨울철 한파 피해

생존권에 대한 문제는 우선 순위를 정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