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금융기관의 선순위 부실채권과 임차인의 보증금반환채권을 공공에서 매입하는 방안
-2) 금융기관의 선순위채권을 할인 매입하고 경매권 실행을 유예하여 임차인의 계속 거주권을 보장
-일정 기간 경과 후 경매권 실행 또는 경매시 매입가격만 배당받도록 하여 임차인의 보증금 배당액을 증액
-임대인이 사망한 경우 상속 재산관리인을 선임하여 상속파산신청을 통해 피해를 집단적으로 구제
현실적인 대책을 주로 말씀해 주시는 것으로 읽힙니다. 이만큼이라도 일단 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전제로.. 전세사기는 제도의 미비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구조적인 문제라는 점에서 '사회적 재난'이라는 것이 인정되어 좀더 적극적으로 구제가 이루어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이번 기회에 그 구멍을 메꾸는 제도 개혁을 논의하고 추진해야 할 것 같습니다.
1) 피해 유형에 맞는 실효적인 지원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입법 필요
2) 피해자 인정 범위를 현실에 맞게 확대하여 억울하게 구제책에서 제외되는 피해자를 최소화
3) 피해현황 및 맞춤형 구제책을 파악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전수조사 실시
4) 정책 집행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고충을 수합하고 개선 조치하는 소통 및 의견 반영 채널 필요
1,2,3,4 다 맞는 방향이라 생각합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제도의 구멍으로 인한 사회적 재난의 피해자인만큼, 국가의 책임이 있다는 판단에 따라, 피해자들에 대한 '선구제 후보완', 관련 제도 개혁 추진이 확실히 이루어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부정적 고정관념을 악화시킬 수 있는 데이터셋에 대한 견제와 이것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안전, 허울 뿐인 개방형 시스템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는 이야기들은 이제 많이 하고 공유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다른 사회 이슈들도 마찬가지이겠지만, AI 관련 기술이 발전하는 속도에 비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논의도 그 속도를 쫓아가기 힘들고, 관련된 실천을 조직하는 것은 느릴 뿐만 아니라 요원해 보이는 듯한 비관이 들기도 합니다. 어떻게든 시민사회의 대응을 함께 만들어 가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시민주도의 팩트체크 시도들이 많이 늘어나면 좋겠습니다! 저도 함께 하겠습니다!
* (정책방안1) 전월세 신고제 전수 확대 + 주택임대사업 등록 의무화
* (정책방안2) 공공임대주택 대폭 확충 + 민간임대시장 의존도 축소
* (정책방안3) 주택투기 레버리지 기능 전세에 대한 비중축소 로드맵 구축
세 가지 정책 방안, 전부 다 진지하게 고려해봐야 할 대안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세사기는 개인의 전체 인생을 좌우 할 정도의 큰 죄라는 점에서 국가가 좀더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임대 또한 믿을만한 공공임대가 주가 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전세 지원제도를 통해 부동산 투기를 하는 상황은 막아야 한다는 점 또한 깊이 공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