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다양한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개인의 선택 권한을 주는 것이 알맞은 방향 같기는 한데,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충분히 있는지도 함께 가야할 것 같네요.
어렵네요. 전쟁이라는 단어 앞에 얼어붙는데, 퀴어라는 말 앞에서도 얼어붙는데, 두 단어가 서로 얽혀있으니 꽁꽁 얼어붙었습니다.
듀피젠트. 가족 중에 아토피로 마음쓰는 사람들이 있다면 알만한 신약일 것 같은데요. 이번에 영유아 대상으로도 보험 확대가 될 것 같네요. 반갑기도 하면서도 영유아때부터 이런 약을 처방받으면 성인이 될때까지 계속 의존하게 되는 건아니게 될지 우려도 됩니다.
서양의학은 사람의 자연치유력을 강화시키는 방향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어서요. 아무쪼록 만 6개월의 영유아부터 처방한다고 하니, 각별히 신경써서 정부가 관리해주었음 하네요.
연구자의 다양한 아이디어로 볼 수 있을 것도 같지만, 국책연구기관에서 발행하는 연구보고서는 영향력이 있기에 그 부분도 고려해야할 것 같아요.
수색 당시 같이 물에 빠졌었던 생존 장병들의 증언이 중요할 것 같아요. https://imnews.imbc.com/news/2024/enter/article/6591403_36473.html
처음 한동안은 항명 사건으로 불리다가 나중에 어느 순간부터 채수근 상병 사망 사건으로 더 많이 불리고 있는 것같아요. 어떤 맥락에서 누가 이렇게 이름을 바꾼 것인지 궁금합니다. 이름에는 의도가 있고, 각자의 배경이 있을 것 같아서요.
혈연 중심으로 가족의 의미가 쪼그라든건 인류역사에서 그리 오래되지않은 일이라고 하네요.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포용하는 법개정이 멈추었다는 소식이 안타깝습니다.
국공립대 월 14만원의 식대. 그에 맞추어 2만원만 더 올려달라는 사립대 노동자분들의 이야기가 보이네요. 대학원 등록금은 매년 줄기차게 올라가던데 . . ㅠ
감정을 소모하고 싶지않아서 돌멩이를 기른다? 고하는.인터뷰이의 말이 기억에 남네요. 감정을 충분히 쓰기 어려운 환경에 있게 된걸까요. .?
최저임금 논의가 시작되었네요. 1만원 이상이 될 것같다는 분위기이지만, 구분 적용이라는 논의도 있네요. 최저임금이라는 의미를 다시 생각해봅니다. .
뼈가 녹는 기분이라고 표현하신 것이 기억에 남네요. 자녀를 잃어버린 슬픔과 죄책감은 얼마나 클지 감히 알수없지만, 이분들을 위한 심리적, 정서적 지원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네요.
내근 중심의 현장 경험이 없는 사람들이 오히려 승진하는 구조때문에 실제 화재 현장에서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들의 지휘를 받아야한다고 하네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