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의대 중도탈락자 179명 중 77.7%(139명)는 지방 의대 학생"라는 내용을 보아하니, 의사를 수련하는 제도가 애초에 균형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게 그저 희망처럼 보이기도 하네요. 어느 직업이 안그렇겠냐마는..
뭐가 문제일까?라는 생각을 계속 하며 읽었습니다. 활동이라고 하더라도 생활할 수 있는 비용이 담보되어야 하니 돈이 있는 곳으로 활동이 몰리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기본소득 같은 제도가 필요하지 않나라는 생각도 드네요. 여튼 좋은 의지를 가진 활동가들이 쌓아온 자산은 활동가 그 자체라고 생각합니다. 활동비 때문에 악순환이 계속 발생한다면 더 아쉬울 것 같네요.
기존의 일명 힘있는 정당에서 제대로 된 기후정책을 내놓을리는 만무합니다. 기후정치를 주요 의제로 하는 집단이 입법권을 가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일명 '규제법'이 등장하면 양가적인 마음이 드는 것 같습니다. 신사업군이라면 제도적으로 발전도 시켜야하고, 그와중에서 독점적인 세력도 막아야하고....
시민들이 가장 쉽고 근처에서 할 수 있는 일을 개선해야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단건으로 우르르 몰렸다 사라지는 형태가 아니라 관심 있는 사람들끼리 뭉치고 대화할 수 있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본문과 기사들을 읽다보니 어떻게 모두 무죄가 나올 수 있나 조금(많이) 의문이 들었습니다. 제가 글을 잘못 읽었나 싶기도 하구요... 술은 마셨는데 음주운전은 안했다 이거랑 같은 말 아닌가요 ㅠㅠ
다-지원해도 부족해보입니다.
우선 구조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대통령제와 정치구조를 선택했는데요. 두 선택지가 가장 근본적이고 궁극적으로 해결해야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세수 펑크 났다는 기사 본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감당하려는지 모르겠습니다 ㅠ
우리 나라의 교육시스템을 다시 돌아보게 되는 사건이었습니다. 유사한 사건이 끊이지 않는다는건 시스템 문제라는 것이겠지요.
저는 '기후위기 소송'이라는 이름을 달고 재판이 이뤄지는 것 자체에 긍정적입니다. 그리고 산업/금융계에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하지 못하면 소송당할까 벌벌 떤다'고 하는데, 그렇게 법으로 강제해서라도 막자는게 맞아서 취지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이 플로깅에 그치지는 않지요. 소비자로서 기업에 압박을 넣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역할이 과소평가되는 것 같아요. 더 자신감을 가지면 좋겠습니다.
저는 '다양한 시민의 계층과 구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이다.'라는 문제제기에 동의합니다. 선거 때마다 뽑고 싶은 사람이 없어서 고민되었고, 제가 뽑고 싶은 이야기를 사람은 당선확률이 낮았거든요.
제도가 바뀌고 지역에 얽메이지 않는 사람/세력이 의사결정단위에 많이 들어오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