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되게 오염되기 쉽고 이용 당하기 쉬운 말인 것 같습니다. 당사자의 목소리를 기반으로 정책이든 뭐든 만들어져야 할 것 같아요

불법 재하도급 정말 문제에요ㅠㅜ 기술자를 직고용할 능력이 없으면 사업체를 운영하지 말아줬으면 좋겠어요..

“댐 건설로 인한 피해는 춘천이 오롯이 감당하고 정작 물은 다른 지역에서 쓴다고 하면 거센 반발에 직면할 것”... 주민들의 불만도 그렇지만 산이나 강이나 다 도구로만 보는 것 같은 변화가 달갑지 않은 것 같습니다. 반도체 클러스터..(콧방귀)

윤재갑 외 298명 에게 촉구합니다.

21대 국회의원님들 소중한 국민 자산인 국회의원 의정활동기록을 버리지 말아 주세요.

의정활동기록물을 국회기록보존소로 기증하면 대한민국의 의회 정치가 더욱 발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앨범과 관련한 논란 속에 원색적으로 퀴어를 비난하는 의견을 sns에서 많이 봤어요. 그걸 보면서 저에게 왔던 데미지를 생각하며 기사 읽으니 고개가 끄덕끄덕..전체적으로 공감되는 글이었습니다.

뉴스 구경하다가.. 자세한 건 알 수 없지만 안타까운 일입니다.ㅜㅠ

여가부가 없어지면 뭐가 좋다고.. 이렇게 까지 하는 걸까요? 정부 부처의 기능을 너무 가볍게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사건 내용도 충격적이고 화가 나는데 저걸 군에서 어물쩍 넘겼다는 데에 할 말을 잃었습니다. '아쉽다'고 넘어가도 되는 걸까요? 사람이 죽었는데요..

제가 사는 동네에 있는 가장 큰 불만이 도서관이 없다는 것이었는데요. (시청이 있는 동인데도 말이죠) 뉴스를 보니 한층 더 가슴이 답답해지네요. 도서관은 책이 있는 곳이기도 하지만 자연스럽게 공부하는 공간이기도 하고 여가를 즐길 수 있어서 모든 연령의 시민들에게 필요한 공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남성들이 군 복무로 느끼는 박탈감을 줄이는 것은 여성들이 아닌 국가와 정치의 책임이다.' 라는 문구가 인상적입니다. 군대에 가는 것이 박탈감을 얻을 만큼 힘든 경험이라면 "너도 경험해야 한다."가 아니라 그 환경을 바꾸는 노력을 하는 게 바람직하지 않나 싶습니다.

두 번 놀랐다는 쑥쑥님 코멘트에 동의합니다. 새만금 잼버리 때의 부끄러움이 다시 울화로 치미네요. 저출생 문제는 심각하다고 이야기하면서 여가부는 뒷전이라니 우습달까요. 성평등, 취약계층 지원, 가족 정책 등 전부가 여가부에서 할 일 아닌지.. 있는 여가부는 내몰고서 저출생, 인구 감소 문제 어떻게 하겠다는 걸까요..?

진상규명도 되지않고 책임자 처벌도 되지 않은 채 10주기를 맞았는데 고작 다큐 프로그램 하나 방영하는 것도 못하게 하다니 언제든 같은 참사가 벌어질 수 있는 나라에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젠더 🚩청년 🚩기후

아무래도 당사자성이 있다보니 젠더, 청년, 기후 이슈에 관심 갖게되는 것 같습니다.

기사에 언급된 박막례 할머니 영상은 벌써 수 년 전에 업로드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인권위가 나섰다고는 하지만.. 상당히 늦은 대응이라는 생각을 지우기 힘드네요. 더불어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교육도 필요하겠으나, 키오스크 시스템에도 가이드라인이 적용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가끔 저에게도 헷갈리는 키오스크들이 있고, 더군다나 장애인 이용자에 대한 고려가 반영된 키오스크는 보기 힘들었거든요.

취약한 사람에게 더 취약하게 적용되는 노동환경은 필히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귤 껍질은 일반쓰레기로 알고 있었는데.. 지역마다 다르다니 엄청 헷갈리게 되어있네요. 탄소중립도 해야하고 기후위기 대응과 자원순환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디테일이 한참 부족한 것 같은 느낌이에요

🙆‍♀️: 휴가가 많은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이 좋은 것 같아요! 💁🏻‍♀️ : 경력 단절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가 부족해 아쉬워요!

현금성 지원도 필요하겠지만, 양육에 가장 필요한 건 양육자라고 생각해요. 일-가정 양립이 당연해지고 누구나 아이를 키우면서 일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되면 좋겠습니다.

상담을 받다가 상처받을까 걱정한다는 부분이 엄청 공감되어요. 저도 항상 그래서 상담자 눈을 제대로 못 보고 진심을 다 말하지 않게 되는데 이게 상담이라고 할 수 있는 건지 모르겠더라고요. 어쩌다 속 얘기 비슷한 걸 얘기하면 정말 '비전문적'인 대답이 돌아오고 그때마다 성실하게 실망하게되어요. 이 글을 읽으니까 왜 그렇게 아쉬운 상담 경험이 많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조금 알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단지 의혹일 뿐이라 하더라도 대처가 몹시 부적절한 것 같습니다. 공익신고자를 색출하면 누가 공익신고를 할 수 있겠어요.
"유가족들하고의 어떤 관계도 일종의 권력투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게 아닌가" 이 인용해주신 부분 엄청 공감이 되었습니다. 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이상 이만한 저항과 의무를 다 제치고 거부권을 행사하는 게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네요. 유가족에게 '특혜'를 준다느니 하는 생각은 '보상해줄테니 넘어가자'는 정부의 시선이랑 비슷하게 비열한 것 같습니다. 애초에 가족의 죽음이 돈으로 치유가 되겠습니까. 유가족이 온몸으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데 아직도 보상 얘기나 하고, 할 것 다 했다는 식의 입장인 걸 보면 처음부터 지금까지 제대로 유가족의 이야기를 들은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정부가 제 할 일을 전혀 못 하고 있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