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와 SMR의 선순환, 이걸 우선 논의해야 한다
SMR(소형모듈원전) AI 시장 친환경 에너지로 낙점
최근 1주일 남짓 신문에는 원전을 다루는 기사가 많았다. 2024년 노벨상 과학분야를 AI(인공지능)가 휩쓸면서 관심이 더 증폭된 듯 보인다. AI가 사용됨에 따라 데이터 센터 확충이 필요해지고, 전력 사용량 폭증이 예상되니, 24시간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친환경' 에너지인 원전을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 기사들의 핵심이었다.
그중에서도 주목받는 건 SMR(소형모듈원자로)이다. SMR은 작게 축소한 원자로다. 기존 원전대비 발전량은 작지만, 크기가 기존 원전대비 3분의 1수준으로 작고 안정성과 가격 경쟁력은 더 좋다고 평가 받는다.
그동안 AI 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로 평가받는 것이 '전기'였다. 익히 알려진대로 AI가 사용하는 막대한 전기와 AI가 생산하는 막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센터가 사용하는 전기량은 상당하다. 이는 국가 단위와 맞먹는다.
2020년 기준, 전 세계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은 200-250TWh(테라와트시)였는데, 이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전체 전력 사용량은 200TWh 이상 수준이었다. 더구나 이 양은 점점 늘어날 전망이다.
프랑스의 에너지 기업인 '슈나이더 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이 발표한 AI 혁신:데이터센터 설계에 대한 과제와 지침(The AI Disruption:Challenges and Guidance for Data Center Design)'에 따르면, 향후 AI 서버를 적용한 데이터센터의 전력 사용량은 2028년까지 연평균 26~36%씩 증가할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력을 생산할 수단이 마땅치 않다고 여겨졌다. 기후위기 문제로 석탄과 석유를 통한 전기 생산은 어려웠고, 친환경 에너지인 태양광과 풍력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AI와 데이터센터는 24시간 내내 돌아가야 하는데, 태양광과 풍력은 24시간 안정적인 공급을 해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 때문에 “환경적 요인과 지리적 요인 및 안정성을 고려하면 SMR밖에 대안이 없다” 라거나 “‘SMR’이 AI 전력 해결사” 라는 말이 나온다.
SMR(소형모듈원전) 확산 이끄는 빅테크(아마존・구글・MS),
세계원자력협회 “2035년에는 SMR시장 640조 원으로 성장할 것”
SMR에 가장 활발한 투자자는 단연 빅테크(MS・아마존・애플・구글)다. 경기부진에도 너도나도 AI에 투자하고 있다. 금액도 상당하다.
아마존은 SMR 기업인 X 에너지에 5억(한화 약 6,800억 원)을 투자했으며, 에너지 노스웨스트와 계약을 체결해 4개 SMR 사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구글은 SMR 기업인 카이로스로와 500MW의 전력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500㎿는 중형 도시 또는 AI 데이터센터 캠퍼스 한 곳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양으로 2030년부터 공급받을 계획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 9월, 2028년부터 20년 간 스마일 원전 1호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MS는 창업자 빌 게이츠가 투자한 SMR 기업 ‘테라파워'를 소유하고 있다. 따라서 SMR이 사용화되면 테라파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오픈 AI CEO 샘울트먼이 투자한 SMR 스타트업인 오클로는 지난 10월 15일 미 에너지부로부터 SMR 설계 승인을 받았다. 오픈AI 역시 SMR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이 AI에 사활을 거는 만큼 투자는 더욱 커지고, SMR 시장 역시수 백조원 단위로 커질 전망이다. 세계원자력협회(World Newclear Association, WNA)는 “SMR 시장이 2035년까지 5,000억 달러(한화 약 640조 원)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영국왕립원자력 연구원도 “2035년에 SMR 시장이 63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SMR 빅테크가 끌고, 정부가 밀고
우리나라 정부 “전력수급계획에 SMR 4기 건설 반영・・・여기엔 여야가 없다."
현재 이런 모습은 빅테크와 원전의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려는 것으로 보인다. 아직 상용화가 된 적이 없다는 약점이 있는 SMR에 빅테크가 막대한 자본을 투자해 기술 발전을 이루고 상용화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SMR은 필요한 자본을 공급받고, 빅테크는 사용화의 열매의 무탄소 에너지를 공급받는 고리다. 빅테크 입장에서는 막대한 손실을 볼 수도 있다는 위험이 있지만, 성공만 하면 달고 맛있는 과실을 양껏 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에 고리가 점점 강화되는 모습이다.
한편, 원전은 정부의 뒷받침도 있어야 한다. 정부의 정책적, 제도적 지원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우리나라는 체코 원전 수주를 이후로 계속해서 원전 밀어주기를 하고 있다. 지난 20일 발표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전력수급계획에 SMR 4기 건설 반영" 하겠다고 발표했다. SMR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겠다는 의미이자, 밀어주겠다는 의미다.
대통령실은 “(SMR이) 원자력 기술이기도 하거니와 차세대 성장 동력이자 수출 주력 효자 상품이 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여야가 있을 수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나서서 추진할 테니, 여야가 적극 지원해달라는 의미다.
정부 입장도 이해가 간다. 정부에게 가장 중요한 건 경제다. 그 경제 일선에 있는 건 단연 기업이다. 더구나 기업은 AI라는 산업에서 혈투를 벌이고 있다. 여기서 뒤쳐지만 영영 뒤쳐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감돌고 있고, 실제 실적 부진으로 나타나는 것도 사실이다.
AI 경쟁에서 뒤쳐진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는 삼성전자는 연일 실적 부진을 일으키고 있다. 반면, AI 파운드리 생산을 하는 TSMC는 연일 주가가 높아지며 최고 실적을 경신하며, "AI 산업의 장기 승자가 될 것"이라고 하고 있다. 정부 입장에서는 국내 기업이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판단이 작용할 수 있다. 아니 충분히 작용해야 한다.
AI와 SMR 발전의 전제, “인공지능 발전은 필연, 기술 발전=진보, 기술 기업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
이상의 이야기는 빅테크 기업이 AI에 사활을 걸고 있으며, 그것을 정부가 뒷받침해주고 있다는 이야기다. 이것만 보면 빅테크가 AI를 발전시키기 위해 원전을 사용하고, 그것을 정부가 뒷받침하는 게 일말 당연해 보인다. 하지만, 여기서 생각해 봐야 할 건 왜 AI를 발전시켜야 하는가 이다. 빅테크들은 마치 AI가 인류를 더욱 발전시킬 것처럼 말하지만, 그것이 정말 그럴까는 한번 생각해 볼 문제다.
AI의 발전과 SMR의 사용 뒷편에는 AI의 발전과 전력 사용 증가를 당연시하는 기저가 있다. 마치 AI의 발전이 인류에게 필연적이며, 이 필연을 이루기 위해 전기 사용 극대화 역시 당연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의식으로 우리는 AI 발전을 인류가 당연히 받아 들여야 하는 것으로 여긴다. 기술 발전은 늘 있어왔고, 그것이 인류를 진보하게 만들었으니 AI도 인류를 진보시킬 것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기술 진보=좋은 것’ 혹은 ‘기술 진보=당연히 해야 하는 것' 이라고 생각하곤 한다.
이런 생각 때문에 기술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발전 이후 발생할 문제들은 뒷전이 된다. 설사 그런 문제들이 수면 위로 올라온다 해도, 기술 발전이 그러한 문제들을 해결해 줄 것이고, 그렇기에 지금 이 기술을 발전시키는 기업과 기업가들에게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기술 발전이 진보와 같은 의미로 쓰일 수 있을까? 그것이 과연 모두에게 혜택을 줄까?
2024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대런 아세모글루와 사이먼 존슨
“‘기술 발전=진보’는 틀렸다"
2024년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한 ‘대런 아세모글루(Daron Acemoglu)’와 사이먼 존슨(Simon Johnson)’은 책 <권력과 진보(Power&Progress)>를 공동 집필했다. 여기서 진보는 정치 이념이 아니라, 기술 발전으로 인한 생산성과 부의 증가, 그로 인한 번영을 말한다. 그들은 책의 서두에 책 집필 이유를 이렇게 설명한다.
“우리가 이 책을 쓴 이유는 진보가 결코 자동적인 과정이 아님을 보여주기 위해서다. 오늘날의 ˝진보˝는 또다시 소수의 기업가와 투자자만 부유하게 하고 있으며 나머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역량과 권한을 박탈당하고 이득은 거의 얻지 못하고 있다. 테크놀로지에 대해 더 포용적인 새 비전이 생겨날 수 있으려면 사회의 권력 기반이 달라져야 한다. 그러려면 통념에 맞설 수 있는 조직과 반론이 있어야 한다.”¹ (권력과 진보/ p.20)
집필 이유 중 “또다시 소수의 기업가와 투자자만 부유하게 하고 있으며"와 “사회의 권력 기반이 달라져야 한다"는 부분이 있다. 이는 소수가 독점한 상황에선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진보가 있을 수 없으며, 일부 소수가 권력(또는 경제성과 힘)을 독점하는 것을 철폐하고 분배해야 한다는 의미다.
소수의 독점과 권력의 분배는 대런 아세모글루가 또다른 노벨 경제학상 공동 수상자인 ‘제임스 로빈슨(James A. Robinson)’과 함께 쓴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Why Nations Fail>에서 국가 실패의 원인으로 지목한 것이다.
대런 아세모글루와 제임스 로빈슨은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에서 ‘포용적 제도와 착취적 제도'를 비교하며 포용적인 제도를 갖춘 나라는 발전했고, 착취적 제도를 갖춘 나라는 실패했다고 말했다.
포용적 제도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반영하는 동시에 개개인의 사유 재산권을 보장하여, 창조적 파괴와 혁신을 이뤄낸다.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다양하게 반영하기 위해선 민주주의 제도가 마련되어야 하고, 이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마련된 정치제도가 사유 재산과 창조적 파괴를 보장하는 것이다. 민주주의란 모두가 의견을 게재할 수 있고, 다양한 의견을 토대로 권력이 작동하기 때문에 어느 소수의 독점이 있을 수 없도록 막아준다는 것이다.
반면, 착취적인 제도는 정반대로 소수에게 권력이 집중되며, 사유재산을 인정하지 않는다. 때문에 창조적 파괴와 혁신에 대한 인센티브가 결여되어 새로운 발전이 나타나지 않는다. 권력과 힘을 쥔 소수가 권력의 분배와 대항자의 발생을 원치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창조적 파괴와 경제적 동기가 없어서 성장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게 대런 아세모글루와 제임스 로빈슨이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에서 한 주장이다.
대런 아세모글루와 사이먼 존슨이 포용적 제도와 착취적 제도를 가장 잘 보여주는 나라로 남한과 북한을 뽑는다. 남한은 포용적 제도를, 북한은 착취적 제도를 갖고 있으며 위의 위성 사진이 그 극명한 차이를 보여준다고 소개한다.²
여기까지만 보면, 대런 아세모글루와 사이먼 존슨은 <권력과 진보>를 통해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의 주장을 반복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대런 아세모글루와 사이먼 존슨이 주장하는 건, 과거에 기술 발전=진보라는 공식이 깨지고 있다는 것이다. 즉, 기술이 발전할수록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지 않고, 소수의 권력과 부만 집중적으로 커진다는 것이다.
그것은 새로운 형태의 기술 기업의 출현함과 동시에 이들이 그 기술과 권한을 독점하여 발전을 저해하기 때문이다. <권력과 진보> 서두에 “소수의 기업가와 투자자만 부유해지고 있으며, 테크놀로지에 대해 더 포용적인 새 비전이 생겨날 수 있으려면 사회의 권력 기반이 달라져야 한다. 그러려면 통념에 맞설 수 있는 조직과 반론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 이유다. 기술이 발전할 수록 더욱 착취적으로 발전하는 걸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책을 통해 AI로 인한 생산성 증대와 부의 확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AI와 SMR의 성공과 실패의 폐해는 모두에게 폐해가 된다
에너지 감축을 위한 논의가 우선 되어야 한다
AI의 발전과 SMR 모두 막대한 자본이 든다. 그 막대한 자본으로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건 자본을 가진 소수 빅테크들 뿐이다. 이들은 성공할 경우 그 과실을 가장 먼저 가장 많이 따먹다. 물론, 막대한 자본을 투자한 만큼 실패시 위험부담도 크다. 성공의 과실과 실패의 폐해를 함께 가져가는 양날의 검을 쥐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실패 부담을 떠안는다고 해서 그들에게 모든 것을 허용해도 되는 건 절대 아니다. 실패시 폐해가 모두에게 돌아오기 때문이다. 더구나 현재 AI는 성공의 과실이 모두의 폐해가 될 수도 있다.
AI는 그 자체로 막대한 양의 전기를 사용한다. AI 발전을 당연히 해야 한다고 믿는 것 만큼, 전기 사용도 당연히 늘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잘못됐다. 지금 우리가 주목해야 할 건, 에너지 총 량을 어떻게 줄일까이다. 현재는 에너지 총량 증가는 당연하니, 여기서 친환경으로 효율적으로 조달하자라는 논리다. AI 발전에 가려진 또 다른 논리기도 하다. 이 논리 자체를 바꿔야 한다. 개인적으로 생각한 이렇다.
1. 전체 에너지 사용량 감소
2. 에너지 효율성 증가
3. 친환경 에너지 사용
4. 상쇄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이 후 순위인 것은, 이것을 구축하기 위한 인프라 개발을 위해 수많은 환경 자원을 지구로부터 착취해야 하기 때문이다. 에너지 사용량이 줄지 않으면, 태양광과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가 되었건 원전이 되었건 환경에 막대한 부담을 주는 건 똑같다.
설령 SMR이 사용화가 되어 사용된다 해도 이 장비를 만들기 위해 지구 어딘가에서 막대한 양의 광물을 착취한다면, 이는 곧 무탄소 전기를 생산하자고, 지구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이다. 기후위기는 탄소 배출만 막는다고 해결되는 게 아니다. 지구의 여러 시스템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SMR이 탄소배출 해결책일지언정, 기후위기 해결책이 아닌 이유다.
SMR 자체도 문제다. 소형 원전으로 기존 대규모 원전보다 안정성이 있다고 해도, 완전히 100% 보장되는 것은 아니며, SMR이 지역 생태계에 미칠 영향과 사용 후 핵원료 등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더구나 SMR을 설치하는 지역의 지역민들은 어떻게 할 것인지 조차 논의되고 있지 않다. 이런 중요한 사안들이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단순히 “AI 발전에 도움이 되니 해야지”라는 논리로 밀어 붙여선 안 되는 이유이자, AI가 발전할 경우 과실은 빅테크가 가져가지만, 폐해인 기후위기는 인류 모두가 함께 지게 된다 말하는 이유다.
당연히 늘려야 한다는 생각에 반대,
소수만 누리는 의제 설정의 독점을 깨고, 다양한 관점이 포함되어야 한다
"미래를 재구성하는 길은 길항권력을 창출하는 것이고, 특히 다양한 목소리와 이해관계와 관점이 지배적인 비전에 맞서 균형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다. 폭 넓은 사람들이 접할 수 있고 의제 설정에 다양한 아이디어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로를 열어줄 제도를 일굼으로써, 우리는 소수만 누리는 의제 설정의 독점을 깨뜨릴 수 있다"² (권력과 진보/ p.143)
현재 빅테크와 그리고 우리나라 정부가 만드는 의제는 AI의 발전이 당연하며, AI의 발전을 위해 원전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빅테크의 기술발전을 위해서 말이다. 하지만, 그 어느 주장에서도 이 발전이 어떤 폐해를 불러올 수 있는지는 직접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런 발전에는 “여야가 없다"는 반론의 여지를 내지 말라고 말한다.
정치에는 여야가 없지만, 그 여야를 만드는 건 결국 국민이다. 그리고 그 국민들은 그 수만큼이나 다양한 의견을 갖고 있다. 또한 그 국민들은 빅테크가 만든 기술의 소비자이기도 하다. 정부 입장에서도, 빅테크 입장에서도 다양한 의견을 들어야 하는 이유다. 그리고 그 의견들을 모두 듣고서 자신들의 의제와 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 그렇지 않고 소수 빅테크와 투자자들만 배가 불러지게 되면 이는 또다른 독점과 소수의 권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건 국민이자 소비자이자, 인류 구성원인 개개인이다. 개별 개인이 깨어 있지 않으면, 그 개인이 모인 공동체도, 나라도 깨어있을 수 없다. 그렇게 되면 결국 소수의 의견과 방향대로 따라갈 수밖에 없다. 이는 곧 소수의 권력과 힘의 강화로 가는 지름길이며, 그 종착지는 착취적인 제도의 부활과 폐해다.
우리가 진보의 수혜를 입은 것은 맞지만, 그것이 가능했던 주요 이유는 우리 앞의 세대들이 그 진보가 폭넓은 사람들을 위해 작동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가 다시 그 일을 해야 한다. ² (권력과 진보/ p.18)
AI 발전으로 그 어느 때보다 소수의 의견과 힘이 강해지고, 다수의 의견이 줄어들고 있는 것 같다. 이는 곧 그 어느 때보다 개개인이 다양한 의견을 말해야 하고, 말할 수 있게 해야하는 시기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모두가 자신들의 생각을 조금 더 과감없이 표현하고, 또 표현할 수 있으면 좋겠다. 그것이 AI 기술 발전의 수혜가 나와 공동체 모두에게 돌아오게하는 방법이다.
1) <권력과 진보> (대런 아세모글루・사이먼 존슨/ 생각의 힘/ 2023) p.18, 20, 143
2)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대런 아세모글루・제임스 로빈슨/ 시공사/ 2016) p.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