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회에서 어떤 이야기가 오갔는지 궁금했었는데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대기업과 부유층 오염자에게 책임을 묻고, 기후위기 최일선 당사자의 목소리를 들어라! 💪
공공재생에너지 전략에 동의합니다 !!🙌

이 글이 참 좋아서 여러번 읽었습니다. 선거가 다가오니 자극적인 정치뉴스들만 난무하는 가운데 정치의 참뜻을 생각해볼 수 있어서 행복했습니다.
우와, 꼭 필요한 주제의 연구라는 생각이 들어서 응원하고 싶습니다. 연구결과가 정말 궁금합니다.

피어나라 퀴어나라!!! 🏳️‍🌈

동작구 외 24명 에게 촉구합니다.

안녕하세요. 늘 시민을 위해 열심히 일하시는 주무관님께 감사 드리며, 새를 사랑하는 시민으로서 간곡히 요청할 사안이 있어 이메일을 보냅니다.

유리창에 새가 부딪혀 죽는 일이 더 이상 없도록 구청 차원에서 계획을 수립하고 꾸준히 지켜나가 주세요!

지난 6월 11일부터 시행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야생생물법 개정안') 제8조의2에 따라, 앞으로는 공공기관이 건축물, 방음벽, 수로 등 인공구조물에 의한 야생동물 충돌⋅추락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저감조치를 시행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귀 구청에서도 개정된 야생생물법을 준수하여 더 이상 새들이 유리창에 부딪혀 죽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저감조치를 시행하고 모니터링해 주시길 시민으로서 요청 드립니다. 아직 예산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면 유리창 새 충돌을 막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예산 확보를 위해 애써 주시고 시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연관찰 플랫폼인 '네이처링' 내 '야생조류 유리창 충돌조사' 미션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4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조사된 서울시내 유리창 새 충돌 사고만 해도 2,558건에 달합니다. 이는 새 충돌 문제에 관심 있는 시민들이 각지에서 발생한 유리창 새 충돌 사고를 기록하여 모은 데이터이기 때문에 실제 충돌 건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요. 더욱이 서울시내에서 유리창 충돌 사고로 기록된 새의 종류는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둘기나 참새뿐 아니라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새매와 솔부엉이, 소쩍새,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참매, 이외에도 호랑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노랑딱새, 멧도요, 벙어리뻐꾸기, 흰눈썹황금새, 오색딱따구리, 파랑새 등 매우 다양합니다. 새 충돌 사고는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매일 일어납니다. 대도시라고, 우리 구에는 그런 민원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문제를 외면하지 마시고 관내 건물과 방음벽 주변에 충돌 사고가 없는지 모니터링부터 시작해 주십시오.

제 의견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장으로 의견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감히 추모하기에 부끄러운 삶을 삽니다. 그럼에도 용기내어 추모합니다.
정말 공감되고 유익한 글입니다. 바다에 핵쓰레기를 버리는 것은 인간에게도 생태계에도 전혀 괜찮지 않습니다. 핵산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윤을 최대한 안전한 방식으로 쓰레기를 책임/처리하는데에 쓰도록 해야합니다.

비례대표제를 통해 사표가 되는 확률이 줄어들고, 공고한 양당제로부터 변화의 물꼬를 틀 수 있기를 바랍니다. 결국 선거제도 개혁의 핵심은 지금 당면한 문제들을 어떻게 정치가 해결할 수 있을까, 그것을 어렵게하는 걸림돌은 무엇인가에 대한 진지한 질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 물음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시민으로서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정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행동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유니콘 같은 '훌륭한 대통령'을 기다리며 실망하고 좌절하고 분노하는 시간을 이제는 그만 반복하고 싶어요! 김창인 청년정의당대표의 아래 문장에 특히 공감했습니다.
"내각제냐, 이원집정부제냐의 구체적인 대안을 떠나서, 현재의 대통령제에 대한 문제의식을 모아내야 한다. 정치의 중심을 청와대에서 의회로 바꾸어야 한다. 의회는 주권기관으로서 각기 다른 정당들의 토론과 협치를 기본으로 하는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수직적 행정체계를 기반으로 했던 대통령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다. 직관적으로도, 좋은 대통령(개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정치보다 좋은 정당(공동체)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정치가 더 낫다."

서울시 홍보기획관 외 6명 에게 촉구합니다.

한덕수 국무총리와 오세훈 서울시장, 박희영 용산구청장에게 이태원 참사의 원인과 결과, 이후 대책에 대한 설명을 촉구합니다.

하루에 한 번 이상 기후위기 수다떨기. 온라인상에 기후위기 관련된 얘기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기후위기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담론이 넓어지고 깊어질 것 같아요. 

기후위기 때문입니다! 미리 대비하지 못한 인재입니다!

처음 질문을 보고"기후위기 자체가 인재 아냐?" 하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들었는데요. 내용을 살펴보니 어떤 질문인지 이해가 되었어요. 저는 둘 다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에 인명 피해 뉴스를 보니 결국 (우리 사회의 오래된 문제인) 주거불평등이나 노동문제와 연결되어 있어서, 약자에게 제일 먼저 도착하는 기후재난의 무게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기후정의를 고려한 기후재난대응책이 시급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