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의 방식에 대한 논의가 뜨거운데, 정략적 차원에서 미루자 말자에 대한 논의 말고, '개헌이 진짜 진짜 지금 필요한가?' 토론할 수 있는 장이 있다면 좋겠습니다. 본문에서 아래 부분은 공감되는 이야기였습니다.
"자꾸 '87년 체제는 끝났다'고 한다. 뭐가 끝나나. 우리는 87년 헌법으로 엄청난 성취를 이뤘다. 국민들이 중요 고비마다 직접 광장에 나가서 그 헌법 정신을 지켰고 더 발전시켜 왔다. 헌법을 어긴 비상계엄 선포를 국민들이 막아내고 있지 않나. 또 선거를 보자. 선거 때마다 우리가 나름의 심판을 했다. 지난 4월 총선은 누가 보더라도 윤석열 정부 심판, 여당 심판이었다. 그러면 반성과 성찰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헌법에 따른 민심을 무시하지 않았나. 협치하라는 국민 명령을 부인했고, 안 했다. 그런 명령이 국민이 지켜온 헌법 정신이고 그걸 안 지켜 생긴 문제인데 너무 함부로 헌법부터 바꾸자고 주장한다. 국민 수준을 정치인들이 못 따라간다."
제도가 아닌 사람의 문제다, 사람을 포함한 제도의 문제다- 모두 동의가 되면서도 되지 않는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개헌을 말할 때, 정당으로부터 독립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만한 장치를 만든다면 해결이 되는 문제일까요?
개헌론이 언제나 대선 경쟁의 이해관계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는 게 참 아이러니네요. 한편으로 대선 주자들과 정당에게 개헌 논의를 맡겨두는 것만큼 부자연스러운 일도 없다는 생각이 들어요.
안녕하세요. 늘 시민을 위해 열심히 일하시는 주무관님께 감사 드리며, 새를 사랑하는 시민으로서 간곡히 요청할 사안이 있어 이메일을 보냅니다.
유리창에 새가 부딪혀 죽는 일이 더 이상 없도록 구청 차원에서 계획을 수립하고 꾸준히 지켜나가 주세요!
지난 6월 11일부터 시행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야생생물법 개정안') 제8조의2에 따라, 앞으로는 공공기관이 건축물, 방음벽, 수로 등 인공구조물에 의한 야생동물 충돌⋅추락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저감조치를 시행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귀 구청에서도 개정된 야생생물법을 준수하여 더 이상 새들이 유리창에 부딪혀 죽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저감조치를 시행하고 모니터링해 주시길 시민으로서 요청 드립니다. 아직 예산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면 유리창 새 충돌을 막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예산 확보를 위해 애써 주시고 시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연관찰 플랫폼인 '네이처링' 내 '야생조류 유리창 충돌조사' 미션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4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조사된 서울시내 유리창 새 충돌 사고만 해도 2,558건에 달합니다. 이는 새 충돌 문제에 관심 있는 시민들이 각지에서 발생한 유리창 새 충돌 사고를 기록하여 모은 데이터이기 때문에 실제 충돌 건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요. 더욱이 서울시내에서 유리창 충돌 사고로 기록된 새의 종류는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둘기나 참새뿐 아니라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새매와 솔부엉이, 소쩍새,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참매, 이외에도 호랑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노랑딱새, 멧도요, 벙어리뻐꾸기, 흰눈썹황금새, 오색딱따구리, 파랑새 등 매우 다양합니다. 새 충돌 사고는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매일 일어납니다. 대도시라고, 우리 구에는 그런 민원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문제를 외면하지 마시고 관내 건물과 방음벽 주변에 충돌 사고가 없는지 모니터링부터 시작해 주십시오.
제 의견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장으로 의견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앞으로의 각 팀 활동들도 너무 궁금하지만, 서로가 서로에게 보이는 관심들이 무척 인상 깊었습니다! 작게 연결되어 있는 기분 속에서 멋진 활동들 함께 만들어나가보아요!??
공감되는 부분이 많네요:) 자전거를 타는 게 개인이 불편을 감수하고 의지를 내어야만 가능한 게 아니라, '타면 좋을 수밖에 없는' 환경이 도시 안에 자연스럽게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옛날엔 유독 더 불편해야 했던 분리수거, 텀블러 사용, 채식같은 움직임들이 조금씩 보편화되고 가끔은 당연해지기도 하는 것들을 보면서.. 언젠가 자전거도 취향과 기호가 아닌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겠지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시장의 투명성이라는 말에 공감합니다:)
취약계층 고려나 여성임원 비율이 개별 기업의 선의로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당연히 해야 하는 것이 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고민이 되네요. '하면 좋은 것'이 아니라, 제대로 지키지 않았을 때 고객들이 돌아서고 기업의 이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