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문제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을 들어보는 공론장의 정기 개최가 필요하다는 걸 다시 한번 느낍니다. 저는 이 문제와 함께 지역소멸도 논의되었으면 좋겠어요. 서울에 가지 않아도 어느 지역에서도 의료시설 등의 생활시설이 충분하게 제공되길 바랍니다.
예전에 딥러닝 컨퍼런스를 통해 AI의 고정관념을 우려한다는 내용이 이슈가 되었는데 여전히 대안이 마련되지 않은 것이 아쉬워요. 더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할 뿐더러 균형있게 기술을 활용할 줄 알아야 할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늘 시민을 위해 열심히 일하시는 주무관님께 감사 드리며, 새를 사랑하는 시민으로서 간곡히 요청할 사안이 있어 이메일을 보냅니다.
유리창에 새가 부딪혀 죽는 일이 더 이상 없도록 구청 차원에서 계획을 수립하고 꾸준히 지켜나가 주세요!
지난 6월 11일부터 시행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야생생물법 개정안') 제8조의2에 따라, 앞으로는 공공기관이 건축물, 방음벽, 수로 등 인공구조물에 의한 야생동물 충돌⋅추락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저감조치를 시행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귀 구청에서도 개정된 야생생물법을 준수하여 더 이상 새들이 유리창에 부딪혀 죽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저감조치를 시행하고 모니터링해 주시길 시민으로서 요청 드립니다. 아직 예산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면 유리창 새 충돌을 막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예산 확보를 위해 애써 주시고 시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연관찰 플랫폼인 '네이처링' 내 '야생조류 유리창 충돌조사' 미션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4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조사된 서울시내 유리창 새 충돌 사고만 해도 2,558건에 달합니다. 이는 새 충돌 문제에 관심 있는 시민들이 각지에서 발생한 유리창 새 충돌 사고를 기록하여 모은 데이터이기 때문에 실제 충돌 건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요. 더욱이 서울시내에서 유리창 충돌 사고로 기록된 새의 종류는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둘기나 참새뿐 아니라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새매와 솔부엉이, 소쩍새,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참매, 이외에도 호랑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노랑딱새, 멧도요, 벙어리뻐꾸기, 흰눈썹황금새, 오색딱따구리, 파랑새 등 매우 다양합니다. 새 충돌 사고는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매일 일어납니다. 대도시라고, 우리 구에는 그런 민원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문제를 외면하지 마시고 관내 건물과 방음벽 주변에 충돌 사고가 없는지 모니터링부터 시작해 주십시오.
제 의견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장으로 의견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인천시청 앞입니다! 한 칸은 무언가로 막혀있어요. 매일 지나가는 곳인데도 이런 안내 스티커가 있는지 몰랐네요. 다만 안내 문구를 찻길이 아닌 도보에서 바라볼 때 똑바로 읽힐 수 있도록 붙였으면 더 좋았을 것 같아요.
덕분에 '고스트워크'라는 언어를 얻어갑니다. 단어만으로도 '있지만 없는 노동'으로 이해가 되어 위험성이 더 크게 느껴지네요. 급변하는 사회에서는 특히나 언어가 불러오는 힘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유령노동자로 분류되는 노동자를 위한 안전망이 우선시 되길 바랍니다.
이 대화모임을 위해 관련 이슈에 대해 모두가 촘촘히 공부하신 것이 느껴집니다. 질문2, 3의 경우는 생각해보지 못한 주제라 읽고 나서도 곱씹게 되네요. 빠르게 달라지는 노동 환경 속 노동자의 권리를 위해 많은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플랫폼 협동조합의 방향은 기술과 민주주의를 튼튼하게 이을 수 있는 시도임에 분명하고, 더 많은 사례와 가능성이 필요하다" 특히나 공감합니다.
연구자 또는 기업을 대상으로 만든 '아실로마 AI원칙'을 인상 깊게 읽은 기억이 있습니다. 우리에게도 현 사회에 맞춰 구성된 '기술을 대할 때 유의해야 할 태도나 윤리'에 대한 사회적 약속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과정 속 필요한 다양한 대화의 장을 빠띠가 함께 만들어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