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753
도란 비회원

먼저 저는 모든 동물성 음식에 대한 생산과 소비를 현저하게 줄이기를 바란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그런데 소, 돼지, 닭의 소비는 전혀 터부시되지 않고 심지어 ‘건강한 식단’으로 인식이되는 반면 개고기는 터부시되는 것은 이해가 어렵네요. 물론, 법제화 되지 않아 음지에서 이루어지기에, 기르고 도축 등 하는 과정에서 비위생적이고 비윤리적인 점이 많다는 것은 잘못됐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법제화하고 관리의 영역에 두는 게 좋지 않을지,, 어렵지만 그런 생각이드네요.

다이 비회원

먹을 수 있는 육류가 이렇게 많은데 굳이 개까지 먹어야 하는지 의문이 듭니다. 이미 제가 어릴 때부터 개 식용 금지에 대한 찬성 의견이 다수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십 년이 훌쩍 지난 지금까지도 이에 대해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면 하루빨리 금지되어야 하는 것 같아요.

다이 비회원

참전 용사에 대한 지원은 뒷전이면서 군 가산점을 부활시키는 게 이해되지 않네요. 그리고 늘 이 주제가 화두로 떠오를 때만 남성이 군대에 있을 동안 여성들은 더 빨리 사회로 취직하니 불공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곤 하는데, 남성들이 제대해서 노력할 일을 2년 먼저 하는 게 그렇게 분노할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누가 더 빨리 사회로 가느냐에 상관없이, 누구든 노력의 보상으로 사회 진출을 하는 건데 말이에요.

묘도 비회원

애초에 4대보험 최저임금 상여금만 제대로 계산해줘도 이런 논쟁은 없었을 것입니다. 국방부의 (되지도 않은) 임무 아웃소싱이 이런 헛된 논쟁을 만들어냈다고 생각합니다.

Amy 비회원

현재의 운영스타일이 국민청원을 찾아가는 문턱을 낮춰준 게 아닌가 싶습니다. 목소리를 내는 문턱을 낮춘 것이 엄청난 성과였다고 저는 생각하기 때문에 좋았어요.

다이 비회원

많은 시민들이 국민청원에 열광하고 주목하는 이유는 쉬운 접근성이라고 생각해요. 청원을 올리는 건 해보지 않았기에 말씀드릴 수 없지만, 청원에는 몇 차례 참여해 본 사람으로서 간단한 인증절차가 정말 좋았거든요. 아마 인증절차가 복잡해지면 사람들은 더 이상 국민청원을 안 쓰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꼭 '쉽게' 동의한다고 해서, 동의한 당사자의 생각과 고민마저 '쉽게'나오는 건 아니잖아요. 저도 꼭 동의하는 내용만 꼼꼼히 살펴보고 동의합니다. 만약 인증절차가 복잡해져서 시민들의 참여율이 낮아진다면, 국민청원 자체의 의미가 퇴색되는 건 아닐까요?

인증절차를 강화해서 나쁜 청원을 방지하자는 접근보다, 가짜청원이나 상대방을 비방하는 청원을 걸러내는 시스템의 도입이 시급해 보입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어떤 잣대를 가지고 시민들의 상황을 '가짜'라고 규정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어요. 일방적인 비방, 비난이라면 응당 삭제되어야 하겠지만 '가짜 청원'과 '진짜 청원'을 걸러내는 것은 고민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UNKNOWN 비회원

저는 이 문장에 밑줄긋고 싶네요 .
"한반도 비핵화 노력을 무위로 돌리는 것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북한에 비핵화를 요구할 근거를 상실하게 만든다"
한반도 평화를 위해 꼭 필요한 것도 대안도 아닌데다가, 우리가 평화를 요구하고 갖추기 위해 준비해야 할 태도나 조건에 어긋난다고 생각해요.

단디 비회원

경제적으로나 군사적으로나 한국은 이미 선진국이고 강국입니다. 남한의 핵무기 보유가 한반도의 평화에 도움이 될까요? 우리가 원하는 것은 평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