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을 먹고 싶으면 도시락을 싸오던지 채소만 골라먹으면 됩니다.
의무로 하는건 사실 육식을 하는 이들에 대한 강요나 다름없습니다.
채식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고 채식인구도 늘어나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특히 청소년들 사이에서도요. 그런데 채식인구를 배려하지 않고 육식 위주로 이뤄지는 지금의 급식, 과연 괜찮은 걸까요?
또, 급식도 교육의 중요한 일부입니다. 채식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지금, 기후위기와 그에관한 실천에 대한 교육의 일환으로 주 2회정도 채식급식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학교에서 보통 점심만 먹지 않나요. 일주일에 21끼를 먹는다 치면 그중에 두 끼만 채식으로 먹는 걸텐데요, 영양불균형 걱정은 안 해도 될 것 같아요. 그리고 채식러들도 영양 엄청 챙겨 먹습니다.
김종민 사무국장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플랫폼이 소비자들의 데이터를 독점하고 있다면 이미 소상공인과의 경쟁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경쟁이 아니라 불공정의 시작인 것이겠지요.. 온라인플랫폼공정화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감염의 위협이 있는데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것은 피해야 할 일이라는 사회적 합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에 조응하는 백신 패스는 안전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고, 단계적 일상 회복을 위한 조치로도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어떤 기관에 어떻게 제한을 할지에 대해서는 각각 판단이 다를 수 있다고 봅니다. 때문에 그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현재 백신패스는 권고사항이 아닌 의무사항의 형태로 변화했습니다.
특히 12월 중순부터 시행되는 극단적인 형태의 백신패스로 인해 미접종자는 식당에서 더 이상 동석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는 개인의 권리를 침해할 뿐만 아니라 백신을 맞지 않았다는 이유로 사회로부터 격리시키는 행동입니다. 국가적 따돌림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의 비윤리적 정책입니다.
개인의 선택에 따른 책임을 사회격리로 지라는 것은 과하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백신의 부작용에 대한 다양한 이슈에 대해 정부는 여전히 국민을 설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mRNA백신 교차접종, 교차접종 시기 단축 등의 사안도 연구결과가 뒷받침된 충분한 고지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민에게 그 결과가 전달되지 않은 채 시행되었습니다.
통제적인 형태로 백신을 맞게 한다면 단기간에는 불편함으로 인해 접종률이 증가할 수 있으나
- 언제까지 지속될 지 모르는 코로나 상황에서
- 3차접종만이 아닌 n차 접종까지 가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장기적으로 백신에 대한 불신과 정부 소통에 대한 불만이 늘어갈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충분한 설득이 필요합니다.
단순 매스컴을 통한 전달보다 명확한 수치 제안 및 국회의원/행정부처의 솔선수범을 통해 안전성을 표명해야 합니다.
토론회 공론장 등의 아젠다를 통해 국민의 의견을 수렴해야 합니다.
또한
이번 백신 패스의 적용대상인 식당은 인간의 삶(의식주 중 식)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으며, 현대 사회생활의 중추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식당에 대한 극단적 백신패스 적용은 더 큰 반감을 불러 일으킬 것입니다.
- 효과적인 백신 접종률 향상을 위해
- 국민의 기본 인권 보장을 위해
극단적 백신패스는 지양되어야 하며, 보다 공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건강상의 이유로 백신을 맞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텐데, 공공기관에 못들어가게 하는 건 옳지 않은 것 같네요. 제 가족도 백신 맞을 시기에 크게 아파서 맞지 못했었거든요. 남일 같지 않네요. 본문에서도 헌법 위반이라고도 나와있어서 더 문제적으로 느껴집니다.
백신을 안 맞은 사람을 지금보다 더 불편하게 하는 제도가 아니라, 맞은 사람은 빠르게 통과하게 해주는 제도로 보여서 저는 좋아보입니다. 맞은 사람이 많고 지금 백신 접종여부나 방문기록 등에 소요되는 사회적 비용이 크게 느껴져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