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스 소외론의 의미
소셜임팩트뉴스
·
2024.02.13
기사 보기
최신뉴스
최신코멘트
제주 사람들은 좁은 물음에 갇히지 않았다. 이들이 선택한 것은 성찰이었다. 평화는 “가해자가 되지 않을 권리까지 포함”하는 것이라 했다. 이들은 80여 년 전 제주의 군사화가 미친 영향을 오직 피해자의 입장에서 교훈 삼지 않았다. 난징과 일본 오키나와, 팔레스타인에 연대와 애도의 메시지를 보낸다.
평화는 피해자를 슬퍼하는 것을 넘어 가해자가 되지 말자는 권리가 포함되어있다는 사실을 잊어선 안됩니다. 이스라엘이 2차세계대전 당시 나치에게 겪은 잔혹한 고통을 잊지 않았지만 오히려 팔레스타인을 공격하는 가해자가 되면서 성찰의 의미가 무색해진 것 같아 안타까웠습니다.
군사화와 관광지로 부숴지는 자연경관을 지키려는 이들이 제주에서 애도를 가졌는데요. 개발로 인한 편익에 기댄 것도 인간이고 개발로 생명들을 죽인 것 역시 인간이었으므로 이 곳이 성찰의 장이 되어 더 이상은 같은 일이 되풀이되어선 안된다는 다짐을 해야겠습니다.
2024.12.27
서로가 서로의 풍경 되기
한겨레21
코멘트
1반가운 이홍균 선생님의 글이네요. 맑스의 소외론에 대해 더욱 깊이 이해하고 현대적인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글인 것 같습니다.
'자본주의 사회구조 하에서 노동자는 소외 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맑스를 과학적/경제학적 맑스와 철학적/인본주의적 맑스로 이분법적으로 이해하며 소외론을 후자로만 인식한다던가, '소외는 자본주의가 무너져야만 극복된다'고 말한 것이라는 식의 단선적인 이해가 그 유의미함을 퇴색시키게 되는 것 같습니다.
구조 하에서의 소외 발생 경향에 대한 설득력 있는 분석은 문제의식을 던져주고, '자본주의 사회구조를 무너뜨려야 소외가 해결된다'는 말은 메커니즘에 대한 구조적 설명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이론적 설명은 현실에서 바로 '뙇' 하고 적용 할 수 없다는 점을 이해 할 때 한 발 더 나아갈 가능성이 생긴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현실은 여러 메커니즘들이 동시에 공존하며 서로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총체이기 때문에, 한 기제가 다른 기제를 촉진하거나 막거나 뒤틀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보게 되면 자본주의 사회구조 하에서의 노동자는 소외될 가능성이 높지만(경향), 다른 기제들로 인해 나름의 자율적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으며, 때로는 소외를 극복하기 위한 혁명적 시도라는 이름의 한 대책이 전체주의로 귀결 될 수도 있게 됩니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그러한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하나의 중요한 요인으로 위치시키며, 시대와 장소에 적합한 다른 메커니즘들과의 관계에 대한 복합적 이해 속에서 가능한한 최선의 변화를 고민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