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연구원정] '괴물 부모' 대신 '나쁜 부모'가 될 수 있을까요?

2024.11.24

165
2
​지금 우리가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한정된 자원은 [어느 방향성]에서 더 효과적일까요?
24년 하반기 연구원정
*본 게시물은 <연구원정 부트캠프>에 참여 중인 대원님의 연구과정을 정리한 글 입니다.
*지난 글 보기
Track1. [연구원정] 보호자 양육불안이 발생하는 사회적 맥락과 영향 : 서이초 교사 자살 사건을 기반으로
Track2. [연구원정] 대한민국 부모는 왜, 어디에서, 어떻게 양육불안을 경험하는가?



목차

  • [TRACK 1. 문제분석] ‘서이초 사건’은 왜 일어났는가?
    • 1.1. 몬스터 페어런츠
      • 1.1.0. 용어 정의
      • 1.1.1. 문제 원인
    • 1.2. 가설 수립 - cry for help

  • [TRACK 2. 학술동향] 기존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 2.0. 핵심 질문 - ‘괴물 부모’를 이해해야 한다.
    • 2.1. Review Paper - 양육 스트레스
    • 2.2. 선행 연구 분석
      • 2.2.1. Key Words - 양육 모델 Parenting Model (Belsky, 1984)
      • 2.2.2. 한국 현황

  • [TRACK 3. 연구동향] 나는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이는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
    • 3.0. 연구 목적 - 아동이 아닌 부모의 관점에서, 선제적으로 접근한다.
    • 3.1. 기대 효과 -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
    • 3.2. 연구 대상 - 만 4-7세 아동의 부모
    • 3.3. 연구 주제 - ‘괴물 부모’가 될 바에 우리 ‘나쁜 부모’가 됩시다.



0. 들어가기 전에

  • 나는 어떤 말을 하고 싶은가?
  • 이 논의는 어디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 내 연구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기존 논의의 한계 중 무엇을 돌파할 수 있는가?



연구동향 에세이


  • [TRACK 1. 문제분석] ‘서이초 사건’은 왜 일어났는가?

    • 다양한 사회적 원인이 있으나 일부 보호자의 강성 민원 이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 이와 같은 보호자를 몬스터 페어런츠 (モンスターペアレント, parents bullying) 이라 한다.
  • 1.1. ‘몬스터 페어런츠’ 란 무엇인가?

    • 1.1.0. 용어 정의
      • 부당하거나 불가한 요구로 주위 및 교사와 교실을 파괴하는 보호자(向山洋一氏, 2007)
      • 학교 현장에서 교사나 학교의 교육 방침 등에 대해 자기 중심적이고 불합리한 요구를 하는 보호자(wikipedia)
      • 자녀에게 매우 권위적이면서 동시에 자녀를 과잉보호하는 보호자(김현수, 2023)
    • 1.1.1. 문제 원인
      • 일부 보호자는 왜, 어떻게 괴물 부모가 되는가?
      • 괴물 부모도 결국 사회적 산물 이다(김현수, 2023).
        • 엄연용, 송원영. (2022).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불안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추후 타국 사례를 더 찾아보자. esp. 일본과 아시아 국가부터

  • 1.2. 가설을 세워 보자.

    • 결국 자기 자신이 너무나 불행하고, 우울하고, 힘들어서 ‘괴물’이 된 것은 아닌가?
      • 자살 사고를 가진 청소년이 직접적으로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는 것처럼 cry for help
        괴물 부모도 결국 ‘너무 괴로워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를 말하는 것은 아닐까?
      • 그들의 행동은 ‘나는 너무 힘들었으니 절대 너는 그럴 수 없다.’의 표현형인가?
      • 그들에게서 도망치는 것만으로는 이 문제에 대응할 수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TRACK 2. 학술동향] 기존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 2.0. 핵심 질문
      • ‘괴물 부모’를 이해해야 그들의 페인 포인트를 찾고 이를 해결할 수 있다.
        • 이들을 괴롭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 부모에게 양육이란 무엇일까?
        •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일까?
        • ⇒ ‘양육 스트레스 parenting stress’ 리뷰 문서에서부터 시작해 보자.


    • 2.1.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양육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어떤 것이 있는가?
      • Yuan Fang, Jie Luo, Marloes Boele, Dafna Windhorst, Amy van Grieken, Hein Raat. (2024). Parent, child, and situa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a systematic review.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3, 1687–1705. - 개인 리뷰
        • 부모 요소에서는 우울이, 상황 요소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단, 해당 연구는 구체적 Action Plan 도출을 목표로 하므로 ‘양육 parenting’ 으로 키워드로 확장하여 추가 탐색하겠습니다.


  • 2.2. 선행연구 분석
    • 2.2.1. Key Words
      • Belsky(1984)의 양육 모델 parenting model
        양육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되며…
        특히 부모 개인의 심리적 자원 이 부모-자녀 관계 스트레스를 대응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 parental functioning is multiply determined, that sources of contextual stress and support can directly affect parenting or indirectly affect parenting by first influencing individual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personality influences contextual support/stress, which feeds back to shape parenting, and that,

      • in order of importance, the personal psychological resources of the parent are more effective in buffering the parent-child relation from stress than are contextual sources of support, which are themselves more effective than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이러한 Belsky의 관점을 차용하여 양육을 아동 성장을 위한 수단으로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를 삶의 주체 로 보며 그들의 일상에 양육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양육 부담, 스트레스, 불안 등을 덜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고자 합니다.


  • 더 읽어볼 자료
    • 양육 모델 parenting model
      • Patterson, G. (Ed.). (1990).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family interac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 Abidin R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 Clin Child Psychol 21(4):407–412.
    • 양육 태도 parenting style
      • Baumrind. (1966). Effects of authoritative parental control on child behavior.
      • Baumrind. (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 Baumrind. (1978). Parental disciplinary patterns and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 Baumrind. (2013). Authoritative parenting revisited: History and current status.
    • 양육 스트레스 parenting stress
      • Deater-Deckard, K. (2004). Parenting Stres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 2.2.2. 한국 연구 현황
      • Start Paper 1️⃣ 
        엄연용, 송원영. (2022).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불안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부모·자녀·환경 요인 중 부모 요인 을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 부모 신념 → 이상적인 부모신념
          • 부모 역할 → 수행불안, *유능감 부족
      • Start Paper 2️⃣ 
        엄연용, 송원영. (2023). 한국 초등학생 부모를 위한 부모양육불안 척도(KPAS-ES)의 개발 및 타당화.
        • SP1 에서의 결론을 검증한다.
          • 부모역할 → 부모소진 .31***
          • 부모생활 → 부모소진 .36***
          • 양육불안 → 부모소진 .43***


      • Start Paper 3️⃣
        김성아, 김정아. (2023). 서울시 양육자의 정신건강·양육 스트레스 실태분석과 지원방향.
        • 양육지원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강화의 필요성 제기
        • esp. 양육 관련 정보제공 창구 마련, 신뢰할 수 있는 양육 정보와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제공
        • e.g. 서울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 살펴보기



  • [TRACK 3] 그래서 나는 어떤 연구를 할 것인가?

    • 3.0. Goals & not Goals
      • 부모를 아동 성장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삶의 주체로 고려해 그들의 일상에 양육이 미치는 영향과 그 부담을 덜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도출한다.
      • 치료가 아닌 예방의 관점에서의 부모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즉, 괴물 부모가 된 이들에 대한 대처가 아닌 ‘괴물’이 되기 전 선제적 대응을 목표로 한다.
    • 3.1. 기대 효과
      • ‘괴물 부모’로 인해 시작되는 교육계 사회문제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



        괴물 부모의 탄생 과정(김현수, 2023)
        괴물 부모의 탄생 과정(김현수, 2023)

    • 3.2. 연구 대상
      • 3.2.1. 조건
        • 대한민국에 거주하며
        • 만 4-7세 어린이를 양육하는
        • 부모 (*어머니를 주 대상으로 고려함)
      • 3.2.2. 근거
        • B2C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할 예정이므로 치료보다는 선제적 대응이 가능한 연령대로 선별한다. 즉, 아동기 이전으로 대상을 구체화한다.
          • 만 6세부터 만 12세로(아동볼봄 지원법, 2021) 교육기관에서 학업 및 학생 역할 수행
          • 가정에서 교육기관과 또래관계로 활동 범위가 넓어지는 시기로 부모들에게는 새로운 부모 역할이 가중된다(정옥분, 2018; Pass, Mastroyannopoulou, Coker, Murray & Dodd, 2017).

    • 3.3. 연구 주제
      • 3.3.1. 내용
        • 4-7세 아동 부모들에게 
        • 언제, 어떻게 접근해야
        • “아이들에게 실패할 기회를 달라” 라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까요?
      • 3.3.2. 참고 문헌
        • 조너선 하이트 그레그 루키아노프(2019). 나쁜 교육
          • “미국 최악의 엄마”
          • 아이 놓아기르기 Free-Range Kids
공유하기

@세정님 오늘 발표도 잘 읽었습니다!! 실패에 불안이 큰 사회에서 아이의 실패가 부모의 가장 큰 불안이 아닐까 싶습니다. 매번 논리적인 발표와 정리에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세정님이 주차마다 생각들이 보다 발전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보면서 정말 저희도 많이 놀라고 또 너무 기뻤어요. 특히 이야기해주신 '나쁜 부모'에 대한 이야기가 정말 서이초부터 시작했던 주제를 구체화시킨 가장 대표적인 케이스이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어요. 우리가 서이초 사건을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겠지만, 부모의 문제부터, 그것도 양육의 파트부터 하나씩 바꿔간다면 분명히 희망의 단초를 발견할 수 있을 테니깐요.

논문들도 찬찬하게 잘 찾아주셨고 논문을 리뷰하는 것과 함께 생각도 보다 발전되고 있으셔서 다음 트랙의 연구계획서가 더 많이 기대가 됩니다! 수고 많으셨어요-!

#교육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