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가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한정된 자원은 [어느 방향성]에서 더 효과적일까요?
*지난 글 보기: [연구원정] 보호자 양육불안·죄책감이 가정 밖 사회문제에 미치는 영향 : 서이초 교사 자살 사건을 기반으로
목차
0. 들어가기 전에: 개인 및 사업 관점
1. 문제 정의: 연구 가설 및 문제 상세
2. 학술 동향: 현황 및 Key Paper
3. 논문 리뷰: 기본 모델 및 연구 상세
99. 참고 문헌
0. 들어가기 전에
개인 관점에서의 전제
- 어떠한 사회문제가 있는가?
- 이 문제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 이 문제의 원인은 무엇인가? 어떠한 맥락에서 발생하는가? ← 이번 게시글에서 살펴보고자 한 부분
- 여러 요소 중 지금 당장 내가 개입·개선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Biz 관점에서의 전제
- 소비자는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서비스에 비용을 지불한다.
- 학부모의 시점에서 서이초 사건 등의 사회문화적 환경을 살펴본다면, 국내 보호자의 양육 스트레스는 적지 않은 수준일 것으로 추정된다.
- 즉, 한국 보호자는 높은 수준의 양육 스트레스 및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관련 (사교육) 서비스를 구매할 것이다.
- 그렇다면 어떠한 B2C 서비스를 통해 한국 보호자들의 ‘양육 스트레스’를 절감할 수 있을까?
1. 문제 정의
연구 가설
- Q1. B2C 교육 서비스가 아동과 가족의 행복에 기여할 수 있을까?
- 보호자의 불안감은 아동의 행복감과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친다.
- 많은 한국 보호자들은 ‘내가 아이에게 충분히 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불안감을 느낀다.
- e.g. 스스로가 아이에게 적절한 교육 경험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느끼는 워킹맘
→ 한국 보호자는 대체 왜, 무엇을 두려워할까? 그들의 삶의 맥락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가?
- Q2.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서비스는 어떤 요소를 포함해야 하는가?
- 질적·양적 피드백으로 보호자가 위와 같은 두려움을 깰 수 있도록 돕는다.
- (대응안1) 학습 전후 효과성 분석
- e.g. 아이 스스로도 충분히 이런 것들을 충분히 잘 배웠답니다. 너무 걱정 마세요.
- (대응안2) 학습 데이터 기반으로 아이에 관한 정보 제공
- e.g. 우리 어린이는 이런 것들을 자주 보고 좋아했어요.
- e.g. 바쁜 하루의 마무리에 아이가 관심 있어하는 소재로 대화를 나눠 볼까요?
→단, 위와 같은 방안이 정말 문제의 해결책이 될까? 그 효과성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 (대응안1) 학습 전후 효과성 분석
- 질적·양적 피드백으로 보호자가 위와 같은 두려움을 깰 수 있도록 돕는다.
양육불안 문제 분석
- 전제: 아동·청소년뿐만 아니라 가정 내 구성원이 모두 건강해야 건강한 가정이 될 수 있다.
- 소재: (1)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2) 4-7세 아동을 양육 중인 보호자의 양육 스트레스
- 맥락
- [환경] 한국 내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인식 미비 → 관련 국내 정책 및 서비스의 미비
- [지원] 국내 정책 및 서비스의 미비 → 한국 보호자의 높은 양육 스트레스, 부모 소진 야기
- [심리] 한국 보호자의 높은 양육 스트레스 → 심리적 어려움 및 장애 유발
- [결과] 심리적 어려움 및 장애 유발 → 반사회적 및 공격적 행동 발생 e.g. 서이초
2. 학술 동향
논의 현황
- 한계: 보호자 각 개인보다는 아동·청소년의 올바른 성장과 교육을 위한 수단으로의 논의가 주를 이룬다.
- 연구 방향 설정
- (not goal) 부모 및 조부모를 ‘아동의 가정 내 보호자’로 고려하여, 양육 방식과 아동의 학습효과 및 정신건강 등의 변인간 관계성을 확인한다.
- (goal) 보호자를 주체로 고려하여, 양육 스트레스 절감을 통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한다.
Key Paper 선정
#1. Jay Belsky(1984). The Dete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 선정 이유
- 연구 방향 및 goal 과의 동일성
…while great effort has been expended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ces of parenting, much less attention has been devoted to studying why parents parent the way they do
- 연구 방향 및 goal 과의 동일성
- 한계
- 보호자의 정신건강 보다는 양육 전반의 프로세스를 연구를 제시하고 있음.
- 80년대 모델로, 한국 및 현대 시의성을 담기 어려울 수 있음.
#2. 엄연용, 송원영. (2022).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불안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4(4), 1229-1251.
- 선정 이유
- 한국 보호자에 대한 최신 질적 연구
- 한국 양육불안 사회문제의 맥락 파악 가능
- 한계
- 양적 지표 및 변수 설정의 어려움
3. 논문 리뷰
#1.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AI 요약본
- 부모의 심리적 복지는 양육 기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자녀의 발달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아동의 기질은 부모의 양육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부모와 아동 간의 적합성이 관계 발전에 중대한 요소로 작용한다.
- 사회적 지원, 특히 결혼 생활의 질은 부모의 양육 기능을 지원하며, 부모의 심리적 안녕과 상관이 깊다.
- 앞으로 읽어볼 연구
- Richard R. Abidin(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87-412. - AI 요약본
- 부모 행동은 다양한 사회적, 환경적, 행동적 변수와 부모의 신념 체계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
- 부모 신념 체계는 양육 행동과 아동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자가 보고 방법은 이들의 예측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작용한다.
- 부모 행동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상황적 요인과 심리적 요소를 모두 고려해야 하며,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통합하여 보다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
- Richard R. Abidin(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87-412. - AI 요약본
-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들은 양육 불안을 경험하며, 이에는 부모, 자녀, 환경 요인이 각각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부모는 자신의 역할에 대한 불안과 자녀의 발달 및 건강에 대한 걱정으로 인해 양육 불안을 느끼며, 경제적 부담과 사회문화적 압박도 영향을 미친다.
- 연구 결과는 부모의 정신 건강과 자녀의 건강한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한국적 특성에 맞는 양육 불안 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
논문 리뷰 상세 보기
- 부모양육불안 요인 factor
-
[부모요인]
- (부모신념) 융합-동일시, 자녀 걱정에 대한 당위성, 이상적인 부모신념
- (예기불안) 막연한 걱정, 불안전성에 대한 염려
- (부모역할) 수행불안, 양육부담감, 유능감 부족, 비난에 대한 두려움
- (지나친 책임감) 자녀 통제, 책임감, 자녀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집념, 훈육
-
[자녀요인]
“자녀의 발달 및 건강에 대한 염려”, “자녀에 대한 기대감”, “자녀의 행동염려”,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걱정” -
[환경요인]
“경제적 부분에 대한 염려”, “지지체계로 인한 걱정”, “자녀 돌봄에 대한 걱정”
-
[부모요인]
- 부모양육불안 요인 factor
- 앞으로 읽어볼 연구
- 엄연용, 송원영. (2023). 한국 초등학생 부모를 위한 부모양육불안 척도(KPAS-ES)의 개발 및 타당화. 발달지원연구, 12(2), 45-65.
- 김성아, 김정아. (2023). 서울시 양육자의 정신건강·양육 스트레스 실태분석과 지원방향. 서울연구원 경제사회연구실.
위와 같은 한국 부모의 양육불안 질적연구 및 양육 모델 이론을 기반으로
부모행동 모델 이론은 어떻게 구축되어 있으며, 한국의 양육불안 척도와 정책 및 서비스 현황을 통해 구체화 예정입니다.
당장 사회 체계와 문화적인 요소는 바꿀 수 없더라도
사회문제를 대하는 우리의 태도와 심리적 대응방안의 학습 등을 통해 보다 모두가 안온하고 행복한 삶을 누리기를 바랍니다.
참고문헌
Key Papers
- Jay Belsky(1984). The Dete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AI 요약본 -
엄연용, 송원영. (2022).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불안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4(4), 1229-1251.
AI 요약본
더 읽어볼 자료들
- Richard R. Abidin.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87-412. - AI 요약본
- 엄연용, 송원영. (2023). 한국 초등학생 부모를 위한 부모양육불안 척도(KPAS-ES)의 개발 및 타당화.발달지원연구, 12(2), 45-65.
- 김성아, 김정아. (2023). 서울시 양육자의 정신건강·양육 스트레스 실태분석과 지원방향. 서울연구원 경제사회연구실.
- Kirby Deater-Deckard. (2004). Parenting Stress.
- Eri Osawa, Toshiyuki Ojima, Yuka Akiyama, Zentaro Yamagata. (2019). National campaign to promote maternal and child health in 21st-century Japan: Healthy Parents and Children 21, 保健医療科学, 68(1), 2-7.
- Moïra Mikolajczak, Marie-Emilie Raes, Hervé Avalosse and Isabelle Roskam. (2018). Exhausted parents: Sociodemographic, child-related, parent-related, parenting and family-functioning correlates of parental burnout.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7(3), 602-614.
- 조기현, 홍종원. (2024). 우리의 관계를 돌봄이라 부를 때 : 영 케어러와 홈 닥터, 각자도생 사회에서 상호의존의 세계를 상상하다. 한겨레출판.
- 김효실. (2024년 10월 24일). '한국이 싫어서' 장강명 작가가 말하는, 아이 낳기 좋은 한국은?. 한겨레신문사.
- 류이근. (2024년 10월 21일). 아이는 혼자 크지 않는다. 한겨레신문사.
- #parenting stress
- Wendy N Gray, Kevin A Hommel, David M Janicke, Shana S Schuman, Danielle M Graef. (2013). Parenting Stress in Pediatric IBD, J Dev Behav Pediatr, 34(4), 237–244.
- Nurussakinah Daulay, Neila Ramdhani, Noor Rochman Hadjam. (2018). Sense of Competence as Mediator on Parenting Stress. The Open Psychology Journal, 11, 198-209.
- Susan Bögels & Kathleen Restifo. (2013). Mindful Parenting: A Guide for Mental Health Practitioners.
-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n Parenting and Parenting Stress. 15-39.
- #parenting anxiety
- Gillian Murphy, Lesley Wilkes, Debra Jackson, Kath Peters. (2018). Adult children of parents with mental illness: parenting journeys. Murphy et al. BMC Psychology, 6(37).
- 정계숙, 김미나. (202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분노: 양육불안, 자녀 수, 취업 여부의 영향.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41(5), 1-12.
- 하소영, 서미아. (202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원가족 부모애착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자기성찰에 의한 자녀양육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 가족과 가족치료, 28(3), 339-357.
- Kei M Nomaguchi, Susan L Brown. (2011). Parental Strains and Rewards Among Mothers: The Role of Educ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3(3), 621–636.
리서치 도구
코멘트
6세정님의 연구 주제에 깊은 관심과 응원의 마음을 보냅니다. 부모의 양육 불안이 어떻게 사회적 문제와 이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이 있을지 세정님의 연구 여정을 함께하며 배우겠습니다. 화이팅!!
앞으로 굉장히 기대됩니다. 우리 모두가 불안사회에 사는 이상, 부모의 불안함이 자녀에게 이전될 수밖에 없는것 같고, 그걸 교사에게 푸는것 같네요.
(라떼는) 저도 아파트에서 자랐지만, 그래도 가정 간의 오프라인 커뮤니티는 분명히 있었고, 그런 실재하는 육아 커뮤니티, 동네에서 만나는 친구 집단이 육아와 돌봄의 역할을 많이 가져갔던 것 같아요. 지금은 부모가 모두 등하원, 친구를 만나려면 학원에 가야하고, 돈을 쓰는건 사교육인데 학교는 돌봄 역할을 제대로 못한다는 소비자 습성이 내재화되기 쉬운 세상인것 같네요.
어떻게 연구를 지속하실지 기대되기도 하고, 격한 응원 보내드립니다!
요즘은 많은 예능과 '뉴스'을 통해 저게 부모야/자식이야 하는 말들이 나오지요...
감정적인 문구 일수 있지만, 우리는 모두 부모가 처음이다 라는 말에 대해
어떻게 부모를 정의해야 할지 고민이 되는 거 같습니다...!
두 번 연속 원데이라니 너무 대단하신데요! 불렛으로 쓰셨다고는 하지만.. 내용이 너무 알차요 세정님! 앞으로 연구도 차곡차곡 쌓아가시리라고 생각합니다용, 파이팅!
지난주 한겨레아시아미래포럼에서 '저출생'을 주제로 포럼이 열렸습니다. 저출생을 자본주의 경쟁에서 풀어갔는데요. '직장에서 끝없는 경쟁에 놓인 청년이 가정에서 협력하여 아이를 양육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가능한가'에 대해 끊임없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세정님의 연구주제와 아주 직접적인 내용은 아니지만, 관련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참여한 포럼이니 도움이 되실까 해서 링크 남깁니다!! https://asiafutureforum.kr/
불렛으로 정리하시긴 했지만 깔끔하게 내용과 요지가 잘 이해된 내용이었다 생각합니다 ㅎㅎ 특히 세정님이 서이초 사건에서 연구를 시작하셨지만 그 사건 자체에만 매몰되지 않으시고 보다 구체화해서 연구주제를 발전시켜 나가시는 부분이 굉장히 인상적이에요. 그 주제를 가지고서 관련논문들을 꾸준히 읽어나가시면 그 근거들이 더욱 탄탄해질 거라고 생각해요.
AI를 적재적소에 잘 활용해주신 것도 굉장히 인상적이었습니다 :) 계속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