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744
생강 비회원

어느 것을 우선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기후위기 문제에 대한 환경정의적 시각을 보편화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어린이들이 입는 피해에 집중해보자고 투표했습니다. 어린이, 혹은 자녀들의 문제를 예시로 시민들에게 다가가면 좀 더 많은 공감과 빠른 이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이었는데요. 투표하긴 했지만 확신은 없네요.

생강 비회원

@심바

어쩌면 인간이 너무 많다는 이유에서 멀지 않은 미래에는 약자들의 죽음에 기뻐하는 여론도 형성될지 모른다는 무서운 생각도 드네요.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를 겪는 것도 인간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고, 애초 이런 위기가 찾아온 원인도 일부 인간만을 위한 시스템과 믿음 때문이 아닐까 싶어 공감합니다.

람시 비회원

@심바

인간중심의 생태론과 생물 일반 중심의 생태론이 있는 것 같더라구요. 생태계의 조화의 관점에서 지속가능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질문하고 그에 대답 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심바 비회원

스스로 '그래도 우선적으로 이것부터 풀어 나가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잘 가진다고 생각했는데 아니네요.
기후 문제에선 환경이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맞물려있다고 생각하다보니 '가장 우선' 이라는 말이 제 머리속에서 지표로 작동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ㅠㅜ
인간사회를 대상으로 한 형평성 찾기가 앞으로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생각도 들구요.
기후가 영향을 주는 대상 자체가 인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구내 모든 생명체 나아가 비생명체에게도 영향을 주며 더 악화일로를 걷고있다고 생각해서 인간이 너무 많은게 근본적인 문제가 아닐까... 하는 무서운 생각으로 귀결되어 버리네요. (대충 타노스 건틀렛 튕기는 짤)

람시 비회원

저는 노동과 관련된 자본주의적 생산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일들이 기후위기에 가장 큰 요인이라 생각하여 원인을 제거하다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 기후위기와 노동권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제제 비회원

온열질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노동자에 대한 보호대책부터 산업전환 및 직업훈련까지 전방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느 산업으로 진입, 이직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와 선택의 과정, 진입과 이직에 필요한 교육훈련이 무엇이고 실제 진입한 후 임금과 노동조건은 어떻게 될것인지까지 거의 나라를 다시 세우는 수준의 대전환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용이 비회원

지금, 여기의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해서 노동권을 선택하려다가, 타격을 전시하지 못할 뿐 개도국과 빈곤국의 피해가 더 생존에 닿아있다는 생각이 들어 1번 선택했어요. 피해에 대한 무지는 나의 게으름이라는 생각이 으슬으슬 드네요.

람시 비회원

@다이

국가간 불평등과 양극화의 문제는 어떤 식으로는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지만, 개도국의 개발을 막을 수 없다거나 구속할 수 없다는 주장은 세심하게 접근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불공평함을 해소하기 위한 동반 성장을 위한 선진국의 지원 방안 마련 및 차등적 적용 등은 깊이 고려해야겠지만, 산업발전으로 인한 난개발의 생태주의적 경제성장으로의 전환은 지구적으로 공통적으로 가야 할 방향이 아닐까 싶어요. 지구적 기후위기로 인한 파국이 바로 눈 앞에 와 있기 때문입니다.

https://mnews.joins.com/artic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