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국내 산업 구조 및 교육 제도나
교권을 개선하고 입시 위주의 교육을 완화하여
행복한 지성인을 기르는 교육을
말하는 후보자를 뽑겠다."
우선, 대한민국은 제조업 기반으로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성장한 국가이지만
앞으로의 21세기 패러다임에 비추어보면
더이상 제조업만으로는 높은 생산성을 갖추기 어렵고
제조업 위주의 기업 내 사원의 근로 소득만으로는
아파트 및 자동차를 구매하기는커녕
기본적인 생계를 꾸려나가기조차 어려우니
AI, 반도체, 우주공학과 같은 첨단 사업을
보편화시켜 국내 기업의 생산성을 증대하고
그 기업 내 사원의 근로 소득을 증가시킨다면
대한민국의 입시 위주 과열 경쟁이
어느 정도 완화되지 않을까 싶기 때문입니다.
입시 위주의 주입식 교육 또한
존 듀이나 스콧 니어링, 루소의 교육 철학에
비추어봤을 때에는
백년대계로서의 교육이 아니기에
앞으로의 교육은 학생 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하며
학생인권조례 이후로 추락한 교권 문제에 대해서는
교권이 회복될 수 있도록
그에 대한 대책안을 마련하는 게
필연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교육(Education)의 어원은
라틴어 Educare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어원상 의미는 '밖으로 끄집어내다'라는 의미입니다.
학생들은 단순히 지식을 담는 창고가 아닌,
능동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존재이므로
존 듀이의 교육 철학에 기반하여
학생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21세기 대한민국에서
백년대계로서의 교육에 해당한다고 생각합니다.
대학무상화 강연에서 인상 깊었던 점은
국가 예산으로 대학 무상 교육을 실천하자는 것이고,
그 이유는
약 8조의 국가 예산으로 무상 교육을 실천하여
대학 교수의 전문화 실현
및 대학생의 학비 부담을 줄이는 것이
대학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입니다.
대학무상화가 궁극적으로
대한민국의 대학 서열화 및 과열 경쟁을
완화할 수 있다는 걸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개인적 차원에서
어떻게 입시 위주의 교육을 완화하고
대학 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근본적인 해결 방법으로는
산업 구조의 개편과 교육 제도의 개선인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은 제조업 기반으로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성장한 국가이고,
현재 국내 기업은 제조업 기업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데
21세기에는 AI, 반도체, 우주공학과 같은
첨단 사업이 존재하며
패러다임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기에
상위권이 아닌 이상 대기업을 못 가서
근로 소득만으로 아파트 및 자동차를
구매하기 어려운 현대 사회에서는
중소 기업을 가더라도 풍족한 삶을 누릴 수 있게
산업 구조의 개편이 필요하며
백년대계로서의 교육을 통해
자율적이고 민주적인 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교육제도의 개선은 필연적이기 때문입니다
수동적인 인간이 아닌,
능동적인 인간을 길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