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물은 <연구원정 부트캠프>에 참여 중인 대원님의 연구과정을 정리한 글 입니다.
🚀 지난 글 [연구원정] 증가하는 전담간호사들의 역할 갈등과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에서 이어집니다.
[연구원정] 전담간호사들의 역할갈등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동향 살펴보기
전공의 빈틈 메우는 간호사들 "업무 범위 불명확해 불안"
https://biz.chosun.com/science...
간호사 가능 의료행위 99개 공개…전담간호사 자격 신설
http://www.doctorsnews.co.kr/n...
복지부, '진료지원업무 제도화 자문단' 발족…첫 회의 가져
https://www.medipana.com/artic...
그동안 전담 간호사(PA)들이 법적 보호 없이 많은 업무를 수행해왔으나, 6월 간호법 제정으로 법적 보호와 안정적인 업무 환경이 조성될 기회가 마련되었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시행안이 명확하지 않아, 여전히 불안과 역할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
환자 안전과 의료 서비스 질 유지를 위해 전담 간호사들이 안정적이고 원활한 환경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국내 전담 간호사들의 역할 갈등과 이를 감소하기 위한 방안, 향후 발전 방향 및 직무 만족을 위한 활동들에 대해 연구하려고 합니다.
최근 보건복지부는 ‘진료지원업무 제도화 자문단’을 발족하여 첫 회의를 진행했으며, 전담 간호사와 관련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와 의견이 반영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이 문제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전담 간호사들의 역할 갈등과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동향과 논의 사항을 살펴보았습니다.
관련 선행 연구들을 통해 다음 사항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1. 역할 갈등의 원인
- 업무 범위의 모호성: 전담 간호사의 역할이 의사의 업무와 중복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역할 갈등이 발생합니다. 이는 법적 보호 장치의 부재로 인해 갈등이 더 심화될 수 있습니다.
- 업무 과부하: 의사 인력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전담 간호사에게 과도한 업무가 부과되며, 이는 직무 스트레스와 피로로 이어져 역할 갈등을 악화시킵니다.
- 다른 직종과의 관계: 간호사와 의사 간 권력 불균형 및 소통 부족이 갈등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는 직무 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으로도 나타납니다.
2. 직무 만족과 관련된 요인
- 사회적 인정과 보상: 전담 간호사의 업무 중요성에 비해 사회적 인정과 보상 수준이 낮아 직무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습니다.
- 직무 자율성: 자율성이 보장될 때 전담 간호사의 심리적 안정감과 직무 몰입도가 높아지며, 이는 직무 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업무 환경 및 지원: 효과적인 지원 시스템과 자원 제공은 전담 간호사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는 주요 요인입니다.
3. 갈등 감소를 위한 개선 방안
- 명확한 역할 정의와 법적 보호: 간호법 제정으로 전담 간호사의 역할과 권리가 명확해질 것으로 기대되나, 아직 모호한 상황에서 이를 통해 갈등을 줄이려는 연구들이 필요합니다.
- 지속적인 교육 및 훈련: 전담 간호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이 제안되고 있으나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 의료진 간의 협력 증진: 의사와 간호사 간의 의사소통을 강화하여 협력적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갈등을 완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4. 미래 발전 방향
- 전담 간호사의 전문성 강화: 전담 간호사의 교육 과정 및 경력을 강화하여 전문 간호사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 역할의 다양화와 분업 체계 정립: 역할을 세분화하고 협력 구조를 확립하여 전담 간호사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 국제 사례를 통한 비교 연구: 해외 사례를 참고하여 한국의 시스템에 적합한 모델을 도입하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5. 연구 방법론 동향
- 질적 연구와 혼합 연구: 역할 갈등의 심리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결합한 혼합 연구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 설문 및 사례 연구: 그동안 설문 조사와 사례 연구를 통해 전담 간호사의 갈등 요인과 직무 만족도를 파악하는 연구가 일반적이었습니다.
관련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서 앞으로 더 찾아봐야 할 부분들을 알게 되었고, 현시점에서 전담간호사로 근무하고 있는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한 혼합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향후 좀 더 폭넓게 자료를 찾고 연구 주제를 구체화하면서 진행할 계획입니다.
[참고문헌]
간호법(법률)(제20445호)(20250621)
김병관,정원희. (2024). 국내 전담간호사의 역할갈등 개념분석. 간호행정학회지, 30(2), 141-151.
이화진. (2017). 전담간호사의 역할 적응과정.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7(4), 941-957.
이은수 and 김세영. (2022). 전담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31(4), 198-206.
김소선, 유미정 and 김아인. (2022). 대학병원 임상전담간호사의 역할 경험.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4(1), 15-26.
이영희. (2024). 국내 전문간호사 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도전.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54(3), 297-299.
문혜경. (2020). 전담간호사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통합적 연구. 문화기술의 융합, 6(3), 159-166.
설미이, 신용애, 임경춘, 임초선, 최정화, 정재심. (2017). 한국 전문간호사제도의 현황과 활성화 전략.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4(1), 37-44.
백경희 and 장연화. (2024). 진료지원 간호사의 업무 범위와 무면허 의료행위에 대한 고찰. 일감법학, 57, 163-189.
임현숙, 정향인, 최경주. (2023). 상급종합병원 외과계 전담간호사의 직무 역할: 내용분석. J Korean Acad Nurs Adm. Mar;29(2):155-168.
유미정, 박미나, 심정언, 이은성, 염인선, 서영미.(2022). 일 상급종합병원 임상전담간호사에 대한 의료인의 역할기대. J Korean Acad Nurs Adm. Jan;28(1):31-42.
민지현, 서민정, & 하영미. (2024). 임상전담간호사의 역할갈등, 전문직 자율성, 잡 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 업건강연구, 6(2), 83-94.
코멘트
7sspark0021님 안녕하세요, 매우 시의적절한 주제의 글을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새로운 제도가 상륙하기 전에 이렇게 세심한 고민을 하시는 모습이 정말 멋지십니다. 앞으로의 연구도 응원하겠습니다.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제시해주셨고, 동향을 알려주셨는데요. 선행연구에서 발견하신 연구의 제한점 또는 제언사항은 어떤것이 있을지 공유해주셔도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이번 한주도 정말 고생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상수 님께서 몸담고 계신 인하대 병원에서 질적 연구, 혼합 연구를 진행해보신다면 ㅎㅎ 어떤 이야기들이 들어 있을지 너무 궁금해져요 ㅎㅎ 상수 님의 따뜻하고 넓은 시야로 의미있는 내용들이 많이 발견될 것 같아요! ㅎㅎ 이번 주도 수고하셨습니다~!
sspark0021님!! 레퍼런스와 뉴스들을 보며 살펴보며 간호사들의 현실들을 알게 되는거 같아요... 앞으로도 많은 관점들을 기대하며 응원합니다!!
(저도 많은 글들이 참 힘이되어요.ㅎㅎ)
양적 연구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발표를 듣고 나서 도구 개발이나 개념에 대한 설명이 양적 연구에서 큰 고민같다고 느꼈어요. 앞으로 전담간호사에 대한 연구가 축적된다면 도구도 더 정밀하게 개발되지 않을까 기대를 해보았습니다. 앞으로 연구도 응원할게요:)
PA 제도는 의료대란의 희생양일까요, 부산물일까요, 대안일까요... 의료대란을 바라보며 돈많고 힘센 의사집단의 어깃장은 저렇게 우쭈주 해주는데, 간호사나 다른 직역의 의료/보건인력은 목소리조차 들리지 않는게 참 아이러니합니다.
관련해서 논의가 꾸준히 이뤄지고, 성수 님의 연구도 더 탄력받으면 좋겠습니다. 응원합니다!!
@sspark0021님 오늘 발제도 잘 들었습니다! 보면 볼수록 볼게 많다는 이야기가 너무 공감이 됩니다😭😭 끝까지 함께 가요! 응원하겠습니다:)
관련해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네요! 제도화 뿐만 아니라 역할갈등이라는 주제 자체가 각 케이스별로 굉장히 다양하게 있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어서, 하나의 현상으로서 연구를 진행하실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완전한 갈등해소를 할 수는 없겠지만, 가장 최선의 제도와 갈등중재를 위한 문화 자체가 무엇일가를 모색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고 보입니다. 너무 수고 많으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