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적 기준과 가치가 작동한다면 (모두가 억울함을 호소하더라도) 무엇이 차별인지 판단하고 그것을 없애는 방법을 모색하게 된다”. 안타깝게도 현재의 상황은 그런 기준과 가치가 무력해지면서 ‘누가 집단적으로 더 시끄럽게 구는지’가 기준이 돼 버렸다는 게 최 작가의 분석이다" 동의합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집게손이 뭔지 모르는 사람이 사실 더 많은 것 같은데. 논의가 왜 이렇게 가나 싶습니다.
"논란을 정치 이슈화하는 정치인들에 대해서는 “갈등을 풀어나가는 방식이 아니라, 자기에게 이득이 되는 방식으로 왜곡하거나 이용하며 갈등을 심화시켜왔다”고 밝혔다. 고착화된 단절의 고리를 부수려면 ‘양질의 소통’이 늘어야 한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디지털 시민 멤버십
코멘트
2" “사회적 기준과 가치가 작동한다면 (모두가 억울함을 호소하더라도) 무엇이 차별인지 판단하고 그것을 없애는 방법을 모색하게 된다”. 안타깝게도 현재의 상황은 그런 기준과 가치가 무력해지면서 ‘누가 집단적으로 더 시끄럽게 구는지’가 기준이 돼 버렸다는 게 최 작가의 분석이다"
동의합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집게손이 뭔지 모르는 사람이 사실 더 많은 것 같은데. 논의가 왜 이렇게 가나 싶습니다.
"논란을 정치 이슈화하는 정치인들에 대해서는 “갈등을 풀어나가는 방식이 아니라, 자기에게 이득이 되는 방식으로 왜곡하거나 이용하며 갈등을 심화시켜왔다”고 밝혔다. 고착화된 단절의 고리를 부수려면 ‘양질의 소통’이 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