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연구원정] 학술동향 에세이

2024.11.03

61
4
사회적 약자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관심있어요

느린 학습자를 정서적으로 취약하게 만드는, 감정표현과 의사소통에서의 어려움은 무엇인가에 대해 탐색하기 위해 여러 선행연구와 도서를 찾아보았습니다.

먼저 부트캠프 대원분께서 추천해주신 책 <케이크를 자르지 못하는 아이들>은 경계선 지능 아동의 특성을 쉽게 풀어놓은 대중서적입니다. 이와 더불어 책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이들> 또한 경계선 지능 아동에 대한 여러 연구 결과를 모아 특성에 대해 설명하는 이론서입니다. 앞으로 이 책들을 읽으며 경계선 지능 아동에 대한 이해를 넓혀보고자 합니다.

느린 학습자에 대한 학술적 용어가 통일된지 얼마 되지 않아 논문을 찾을 때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경계선지능, 경계선 지적 기능, 느린학습자 등 여러 키워드를 검색하여 논문을 찾았고, 저의 주제와 밀접한 논문을 추려보았습니다. 먼저 국내 학술지에서는 정희정, 이재연(2005) 연구를 통해 느린 학습자 아동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이 논문에 인용된 해외 학술지 논문으로는 Masi, G., Marcheschi, M., & Pfanner, P. (1998) 와 MacMillan, D. L., Gresham, F. M., Bocian, K. M., & Lambros, K. M. (1998) 연구가 있었는데, 느린 학습자의 정신병리적 어려움을 다룬다는 점에서 앞으로 꼭 읽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느린 학습자의 특성 뿐만 아니라 정서, 사회성 향상을 위한 중재 연구 및 개입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추가적으로 찾아보았습니다. 앞으로 특성에 대한 연구를 공부해나가며, 다른 연구자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개입을 했는지 파악해보고자 합니다.


제가 이번에 읽어본 논문은 동일한 연구진이 작성한 두 개의 논문입니다.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수행된 연구로, 발행년도가 비교적 과거이긴 하지만 느린 학습자 아동의 특성과 개입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에 자주 인용되는 핵심 논문이라 볼 수 있습니다. 두 연구를 함께 읽는다면 자폐증과 같은 타 장애를 동반하지 않은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인지, 학습, 행동, 정서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이 아동들을 위한 효율적인 치료와 교육방법의 개발을 위한 중요한 지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느린학습자 아동의 상대적으로 낮은 지능(IQ 71-84)은 지능의 문제로 끝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먼저 느린학습자 아동은 언어지연의 문제를 보이고 청각적 기억능력 및 단기 기억능력과 같은 주의력이 낮습니다.

그리고 느린학습자 아동은 또래에 비해 유아적이고 미성숙한 정서양상을 보이는데, 이와 같은 정서양상이 정확히 어떠한 양상인지 탐색해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정서표현 어려움에는 정서자각, 정서명명, 정서분화수준, 정서조절, 정서표현규칙 등의 문제로 세분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느린학습자 아동은 사회적 이해능력이 부족한 측면이 있습니다. 이는 이들의 적절한 상황판단 및 대처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언어지연, 미성숙한 정서양상, 사회적 이해능력의 부족은 이들이 또래집단과 어울리는 것을 어렵게 합니다. 사회적 관계를 맺는 것이 어려워지면 심리적 안녕감이 떨어지고 고립, 우울, 불안등을 느끼기 쉽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우울 아동의 경우에도 지능검사 결과에서 시간제한이 있거나 민첩한 정신-운동 속도를 요하는 동작성 영역에서 부진한 수행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정희정, 이재연, 2005), 이 문제를 그대로 방치한다면 느린 학습자 아동은 교우관계와 학습 모두에서 소외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에 리뷰한 두 연구 외에도 리스트업 해놓은 선행연구와 책들을 꾸준히 읽으며 느린 학습자 아동의 특성을 다방면으로 이해하고 아직 연구되지 않은 분야를 발견해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참고문헌

책 <케이크를 자르지 못하는 아이들>
책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이들> 

정희정, & 이재연. (2005). 경계선지능 아동의 인지적, 행동적 특성. 아동복지연구3(3), 109-124.
정희정, & 이재연. (2008).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특성. 특수교육학연구42(4), 43-66.
Masi, G., Marcheschi, M., & Pfanner, P. (1998). Adolesc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Psychopathological risk. Adolescence33(130), 415.
MacMillan, D. L., Gresham, F. M., Bocian, K. M., & Lambros, K. M. (1998). Current plight of borderline students: Where do they belong?.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83-94.
박미희. (2024). 학령기 경계선 지능의 아동에 관한 문헌적 고찰. 교육과 문화6(1), 87-107.
Emerson, E., Einfeld, S., & Stancliffe, R. J. (2010). The mental health of you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45, 579-587.

서유진. (2024). 경계선 지능 학생의 정서, 사회성 향상을 위한 중재 연구 분석. 초등교육연구34(2), 413-424.
박애규, 이세화, 이여름, & 장미경. (2022). 느린학습자 아동에 대한 사회· 정서 개입 프로그램 동향 연구. 아동복지연구20(2), 115-143.

공유하기

[느린 학습자]에 대한 관심과 고민을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들러님의 앞으로의 연구여정이 더욱 기대됩니다. 힘찬 응원의 마음을 전합니다. 화이팅!!

아들러님 오프라인 밋업에서 뵈었을 때보다 더욱 발전된 글 아닌가요! 날로 날카로워지는 글을 보고 기대가 더 커집니다. 키워드를 넓게 보셔서 더욱 지반이 탄탄해진 것 같아요. 인권문제팀 앞으로 같이 파이팅이에요!

예전에 김영하 작가님이 추천해준 '나는 강물처럼 말해요' 라는 동화가 생각납니다.
우리와 공유하는 감각들이 있지만 그들이 더 집중하는 감각들이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너무 좋은 주제로 나아가는 모습 응원합니다!!

느린 학습자에 대해서 논문들을 하나하나 차곡차곡 문헌분석하신 부분들이 굉장히 인상적이었어요! 이야기해주신대로 굉장히 다양한 학과의 연구들이 함께 교차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 문제의식을 계속 붙들고 가시면서 논문을 읽어나가시면 연구주제가 보다 뾰족해질 수 있을거라 생각해요.
해외 논문도 더욱 과감하게 들어가시면 많은 것들을 배우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