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패권국이 도전하는 패권국에 대한 두려움이 전쟁을 일으키는 것(투키디데스의 함정)이 아니라 도전하는 패권국이 성장의 한계에 직면하여 불안함과 초조함 속에 전쟁을 일으키는 것이라는 관점을 접하며 미중관계를 달리 볼 수 있게 됐네요. 그리고 현재가 그 가능성이 현실화 될지도 모르는 위험한 구간(데인저 존)이라는 점도 인상 깊습니다.
가장 다급한 현안이 "중국이 첨단기술로 무장한 경제 제국을 형성하고 디지털 전제주의를 확산하며, 대만을 점령하여 현재의 지정학적 구조를 깨려고 시도하는 것"을 어떻게 돌파하느냐 하는 것이며, 기존처럼 자유무역질서에의 편입을 추구하는 것은 그만 포기하고, 중국을 배제하는 경제 동맹을 여러 개 맺어야 한다는 제언도 흥미롭네요. 중국 없이도 돌아가는 '이상적인 반도체 연합'으로 독일, 일본, 대만, 한국 등을 꼽는 것도요. 중국이 첨단 기술에 접근할 수 없도록 수출에 제한을 둬야 한다면서요. 그러면서도 중국과 대화의 공간은 남겨둬야 하구요.
책의 한 줄 요약이 "최악의 지정학적 재앙은 야만과 절박함이 교차할 때 일어난다"라고 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많습니다.
미국중심의 (경제)자유주의와 현실주의 국제관계 이론을 전제로 이야기 되고 있는 듯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눈여겨 봐야할 내용들이 있다고 여겨집니다. 미국중심의 신자유주의적 지구화도 문제이지만, 중국중심의 디지털 전제주의의 확산과 대만의 점령 시도도 큰 위협으로 여겨집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국가의 외교 차원에서는 어떻게 접근해야 하고, 국내의 정치 차원에서는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세상은 너무도 복잡한 것 같습니다.
코멘트
1[중국은 어떻게 실패하는가?]라는 책에 대해 소개하는 방송 영상이네요.
기존 패권국이 도전하는 패권국에 대한 두려움이 전쟁을 일으키는 것(투키디데스의 함정)이 아니라 도전하는 패권국이 성장의 한계에 직면하여 불안함과 초조함 속에 전쟁을 일으키는 것이라는 관점을 접하며 미중관계를 달리 볼 수 있게 됐네요. 그리고 현재가 그 가능성이 현실화 될지도 모르는 위험한 구간(데인저 존)이라는 점도 인상 깊습니다.
가장 다급한 현안이 "중국이 첨단기술로 무장한 경제 제국을 형성하고 디지털 전제주의를 확산하며, 대만을 점령하여 현재의 지정학적 구조를 깨려고 시도하는 것"을 어떻게 돌파하느냐 하는 것이며, 기존처럼 자유무역질서에의 편입을 추구하는 것은 그만 포기하고, 중국을 배제하는 경제 동맹을 여러 개 맺어야 한다는 제언도 흥미롭네요. 중국 없이도 돌아가는 '이상적인 반도체 연합'으로 독일, 일본, 대만, 한국 등을 꼽는 것도요. 중국이 첨단 기술에 접근할 수 없도록 수출에 제한을 둬야 한다면서요. 그러면서도 중국과 대화의 공간은 남겨둬야 하구요.
책의 한 줄 요약이 "최악의 지정학적 재앙은 야만과 절박함이 교차할 때 일어난다"라고 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많습니다.
미국중심의 (경제)자유주의와 현실주의 국제관계 이론을 전제로 이야기 되고 있는 듯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눈여겨 봐야할 내용들이 있다고 여겨집니다. 미국중심의 신자유주의적 지구화도 문제이지만, 중국중심의 디지털 전제주의의 확산과 대만의 점령 시도도 큰 위협으로 여겨집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국가의 외교 차원에서는 어떻게 접근해야 하고, 국내의 정치 차원에서는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세상은 너무도 복잡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