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지난해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 발언 후 네이버를 통해 지원되던 예산이 끊겼고, 장기적 대안이 없던 상황에 유럽기후재단이 잠시 지원해 운영을 연장할 수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 지원이 끊기면서 유지가 불가능해진 것으로 보이네요. 팩트체크 활동이 위축될 것으로 보여서 우려는 됩니다만 이미 작년부터 예견된 일을 벌어질 때까지 바라본 뒤에 국민의힘을 교묘하게 곁들여서 보도를 만들었다는 생각도 듭니다.
한켠으론 언론사들에게 직접적으로 타격이 가고나서야 보도를 한다는 생각도 드는데요. 지난해 초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었던 오픈 팩트체크 플랫폼 팩트체크넷이 서비스를 종료했을 때 일부 미디어 전문지를 제외하곤 대다수의 언론사가 이를 다루지 않았습니다. 반면 언론사에게 인턴 등 직접적 지원을 했던 SNU 팩트체크 센터의 소식은 우후죽순으로 나왔죠. 팩트체크넷과 SNU 팩트체크 센터의 인지도 차이도 영향이 있었겠지만 결국 언론사에게 불이익이 생기고 나서야 문제를 알리기 시작한 셈입니다.
지난해 한국에서 치러진 IFCN의 글로벌 팩트10 행사에서 정은령 센터장은 팩트체크넷을 두고 "정부 예산을 지원받는 한 정권이 교체되면 그에 따라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재정적으로 독립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발언했는데요. 정부 예산이 아닌 기업에 의존한 SNU 팩트체크 센터의 결말도 동일했습니다. 본인의 말에서 정부를 기업으로 바꾼 상황이 그대로 적용된 것이죠.
언론인들이 정말 진심이라면 이 활동을 이어가기 위한 노력을 자체적으로 했어야 하지만 한국기자협회 등 현직 언론인 기관들은 아무런 지원, 행동도 하지 않았습니다. 현장의 언론사들은 SNU 팩트체크 센터의 지원이 사라진다고 하니 팩트체크 전담 기자, 팩트체크팀을 폐지했고요.
결국 이런 상황을 보면 팩트체크 활동이라는 중요한 일이 이어지려면 정부, 기업, 언론이 아닌 시민이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게 더 명확해집니다. 활동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공감하는 단체, 기관의 지원도 필요하겠지만 허위정보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가지고 있는 시민들이 연대하고, 지속가능성을 만들어야 문제가 해결될 겁니다.
코멘트
3이미 지난해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 발언 후 네이버를 통해 지원되던 예산이 끊겼고, 장기적 대안이 없던 상황에 유럽기후재단이 잠시 지원해 운영을 연장할 수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 지원이 끊기면서 유지가 불가능해진 것으로 보이네요. 팩트체크 활동이 위축될 것으로 보여서 우려는 됩니다만 이미 작년부터 예견된 일을 벌어질 때까지 바라본 뒤에 국민의힘을 교묘하게 곁들여서 보도를 만들었다는 생각도 듭니다.
한켠으론 언론사들에게 직접적으로 타격이 가고나서야 보도를 한다는 생각도 드는데요. 지난해 초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었던 오픈 팩트체크 플랫폼 팩트체크넷이 서비스를 종료했을 때 일부 미디어 전문지를 제외하곤 대다수의 언론사가 이를 다루지 않았습니다. 반면 언론사에게 인턴 등 직접적 지원을 했던 SNU 팩트체크 센터의 소식은 우후죽순으로 나왔죠. 팩트체크넷과 SNU 팩트체크 센터의 인지도 차이도 영향이 있었겠지만 결국 언론사에게 불이익이 생기고 나서야 문제를 알리기 시작한 셈입니다.
지난해 한국에서 치러진 IFCN의 글로벌 팩트10 행사에서 정은령 센터장은 팩트체크넷을 두고 "정부 예산을 지원받는 한 정권이 교체되면 그에 따라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재정적으로 독립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발언했는데요. 정부 예산이 아닌 기업에 의존한 SNU 팩트체크 센터의 결말도 동일했습니다. 본인의 말에서 정부를 기업으로 바꾼 상황이 그대로 적용된 것이죠.
언론인들이 정말 진심이라면 이 활동을 이어가기 위한 노력을 자체적으로 했어야 하지만 한국기자협회 등 현직 언론인 기관들은 아무런 지원, 행동도 하지 않았습니다. 현장의 언론사들은 SNU 팩트체크 센터의 지원이 사라진다고 하니 팩트체크 전담 기자, 팩트체크팀을 폐지했고요.
결국 이런 상황을 보면 팩트체크 활동이라는 중요한 일이 이어지려면 정부, 기업, 언론이 아닌 시민이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게 더 명확해집니다. 활동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공감하는 단체, 기관의 지원도 필요하겠지만 허위정보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가지고 있는 시민들이 연대하고, 지속가능성을 만들어야 문제가 해결될 겁니다.
언론의 통제, 장악의 일부라 생각해야할까요… 사실을 밝히는 여과망이 사라지면 진위여부가 사라진 오염된 언론을 마주할 수 밖에 없는데요. K.F.C 가 부디 잘 이어나갈 수 있길 바랍니다.
‘SNU팩트체크’도 운영 중단 되는 모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