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먹통사태, 원인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2022.10.17
지난 주말내내 이른바 ‘국민 메신저’로 불리는 ‘카카오톡’과 계열사 주요 서비스가 먹통이었습니다. 카카오 서버 3만2000대가 멈추면서 주요 서비스가 중단된 것인데요. 10시간이 지나서야 일부 서비스가 복구되었습니다. 이렇게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가 먹통이 된 원인은 그 원인은 카카오가 서버를 둔 SK C&C 데이터 센터에 화재 때문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메시지 전송이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카카오T를 사용하는 택시기사나 카카오 커머스를 사용하는 상인들이 생업에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카카오 각자대표 남궁훈, 홍은택은 “10/15 오후 3시 30분경, 카카오가 입주해 있는 SK C&C 판교 데이터센터에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카카오는 모든 데이터를 국내 여러 데이터센터에 분할 백업하고 있으며, 외부 상황에 따른 장애 대응을 위한 이원화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화재가 발생한 직후, 카카오는 해당 사실을 인지하고 즉시 이원화 조치 적용을 시작했습니다. 다만 이번과 같이 데이터센터 한 곳 전체가 영향을 받는 것은 이례적인 상황으로, 해당 조치를 적용하는데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있습니다.”라고 서비스가 먹통이 된 상황과 이에 대한 대책을 밝혔습니다.
그렇다면 일명 ‘카카오 먹통사태’,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데이터 센터를 제대로 이원화/이중화 하지 않았어요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서버 이중화’에 소홀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서버를 복수로 구성해 한 서버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서버로 서비스를 이어가는 것. 백업과 함께 유사시 데이터를 보존해 서비스 장애를 최소화하는 조치
화재 현장에 참석한 양현서 카카오 부사장은 “이중화 조치가 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트래픽을 전환하는 데 꽤 많은 시간이 걸렸다”고 말했는데요.(서울경제 2022.10.16) 실제로 카카오는 판교·안양 등 4곳의 데이터센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 민주당 조승래 의원은 “실제로 (데이터 센터) 이중화가 잘 되었다면 복구가 지연될 일이 아니다.”라며 카카오의 해명에 의문을 표했습니다. “카카오가 서비스로 발생하는 데이터는 백업해놓았지만, 이를 구동할 수 있는 시스템과 프로그램이 구축해놓지 않았다.”고 주장하는데요. “카카오 생태계가 카카오를 중심으로 보안/인증체계가 갖추어져있는데, 이것이 SK C&C에 있다보니 데이터(만) 백업해도 의미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2022. 10.17)
🙋♀️사실상 국가기간통신망인데, 관리를 민간기업에만 맡겼어요
월간 사용자 4743만명을 넘는 카카오톡 같은 서비스를 민간기업에 일방적으로 맡겨놓아선 위험하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민간 기업에서 운영하는 망이지만 사실상 국민 입장에서 보면 국가기반통신망과 다름없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이어서 ‘카카오 독점 이야기도 나오는데 정부 개입이나 개선 등을 고민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만약에 독점이나 심한 과점 상태에서 시장이 왜곡되거나 이것이 국가 기반 인프라와 같은 정도를 이루고 있을 땐 국민의 이익을 위해서 당연히 제도적으로 국가가 필요한 대응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jtbc 2022.10.17)
지난 2018년 ‘인터넷 데이터센터 국가재난관리 기본계획 포함 법안’이 추진된 적이 있는데요. 카카오나 네이버 같은 주요 회사의 데이터 센터도 국가의 재난관리 규정을 따르고, 그 관리하에 들어와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사기업에 대한 규제가 지나치면 안된다는 주장과 해당 회기가 끝나면서 자동 폐기된 바 있습니다.
🙅♀️유사 사례와 관련 지침이 있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어요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카카오에서 비슷한 사고가 있었습니다. 2012년 4월 28일. LG CNS의 가산 데이터센터에 전원 장치 이상으로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등 카카오 서비스가 4시간 가량 먹통이 되었습니다. 당시에도 카카오는 서버를 분산 운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았는데요. 카카오 경영진은 중장기적으로 여러곳에 서버를 분산 운영하고 이원화 체계를 갖추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습니다. (뉴시스 2022.10.16)
유사한 사례로 2014년 삼성SDS의 경기 과천 데이터센터에 화재가 있습니다. 당시 데이터센터 서버가 과열되었고, 삼성그룹 계열사들의 전산서비스 장애는 사흘간 이어졌습니다.당시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국 데이터센터를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벌인 뒤 재난 등의 상황에 대비하는 ‘집적정보 통신시설 보호지침’을 시행한 바 있습니다. 이 지침은 화재 시에도 업무 기능을 중단 없이 수행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명시했지만, 결과적으로 이를 지키지 않은 셈이 되었습니다. (동아일보 2022.10.17)
여러분은 이번 사태의 가장 큰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댓글에 의견을 남겨주세요
코멘트
6카카오는 광고가 많아요
그래서 서버구축비용이 많이 투자를 안합니다.
그리고 서버를 업그레이드 시켜야해요!
이전부터 국가의 중요한 공지를 왜 민간기업인 카카오톡을 통해서 하는지 이해가 안 갔습니다. 이번 기회에 일종의 공공기관의 탈카카오(?)도 진지하게 고민해봤으면 합니다. 더불어 카카오 부사장의 인터뷰 중에서 화재는 예상하지 못했다는 식의 이야기가 나왔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IT 산업의 재해에 대한 인식도 발전하길 기원합니다.
화재라는 컨트롤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그렇기에 더더욱 이런 사건에 대한 대비는 필요했다고 생각합니다.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오히려 이런 부분을 신경써야 하는 거죠.
정확하게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원화 등 분산의 조치나... 국가기간통신망의 기업의 소유에 대한 문제의식이나... 실질적인 대응체계 마련 및 역량 확보는 전부 필요한 논의인 것 같습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사회적 차원, 국가적 차원에서 플랫폼에 대해 어떻게 접근 할 필요가 있는지 이야기를 나누면 좋겠습니다.
실직적으로 국가기반 통신망인데, 어느정도 관리가 있어야하지 않을까요? 저는 전쟁이나 긴급상황이 나면 어떻게 될지 불안합니다.
사실상 셋다 맞는말인것 같아요!
독점권을 없애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