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2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기준 고령인구(65세 이상)는 901만8천 명 이라고 합니다. 이는 전체 인구 중 17.5%에 해당하는 수치인데요. 고령인구가 900만 명을 넘긴 것은 사상 처음이라고 해요. 이 통계에 의하면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에 비해 굉장히 빠른 편입니다. 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14%)에서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20%)로 도달하는 데 걸리는 기간이 오스트리아 53년, 영국 50년, 미국 15년, 일본 10년인 것에 반해 한국은 7년에 불과할 것이라고 하는데요. 추세가 계속 된다면, 2050년 한국은 전체 인구 중 40%가 고령인구가 될 것이라고 해요.
우리 모두는 영원히 젊을 수 없고, 언젠가 노인이 됩니다. 지금 어르신들의 자리가 언젠가 우리의 자리가 됩니다. 모든 세대가 힘을 합쳐 고령화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우리 주위의 많은 지역과 공동체에서 알게 모르게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청춘발산협동조합’의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청춘발산협동조합, 공동체 돌봄을 현실로 만들다
6.25전쟁 당시 피난민이 정착한 달동네였던 광주 발산마을. 이곳은 1970년대에는 방직공장 여공의 집단 거주지역이었는데요. 북적이던 마을은 1990년대 이후 방직공장의 쇠퇴로 빈집이 늘어나고 나이든 어르신만 남은 곳이 되었습니다. 2015년 도시재생 사업이 시작하면서 마을은 다시 생기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오랫동안 마을을 지켜온 어르신들과 새로 정착한 청년, 예술가가 함께 힘을 합쳐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청춘발산협동조합 송명은 대표는 “돌봄은 누군가 도맡아 하는 일이 아닙니다. 주민 모두가 참여할 때 공동체의 가치는 더욱 높아질 거예요.”라고 말합니다. (2021년 2월 15일 광주매일신문 기사 인용) 이처럼 발산마을은 세대를 가리지 않고 서로가 서로를 돌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정기적으로 열리는 ‘골목이웃회’에서는 노인과 청년에 함께 모여 서로의 일상을 나누고 생활의제에 대해 논의를 합니다. 이는 세대 간 이해를 높이고 필요할 때 언제든 도움을 주고 받을 수 있는 문화를 만드는 데에 큰 힘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청년들은 의료용 보행기나 휠체어 등이 지나가기 어려운 턱과 계단을 개선하는 ‘행복보행도움프로젝트’를 진행했고요. 어르신들은 뜨개질이나 유리병과 캔 등을 수거, 판매해 번 돈으로 마을 아이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하거나, 청년들의 가게 일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또한 ‘행복줍기프로젝트’로 청년들과 어르신들은 길가의 쓰레기나 낙엽을 치우면서 마을을 가꿔나가고 있는데요. 이외에도 발산마을은 주민을 강사로 양성하는 마을교육공동체, 어르신/청년/지역예술가가 함께하는 프로젝트, 마을예술프로그램 등으로 더욱 단단해지고 있습니다.
최근 발산마을은 공병과 캔을 마을장학금으로 모으는 행복장학금 활동에서, 지역에서 버려지는 다양한 자원을 다시 활용해보고자 ‘플라스틱정류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광주 최초로 관련 설비를 갖추어 폐플라스틱을 모아 새로운 제품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이를 널리 알리기 위해 시민을 찾아가는 ‘쓸모버스’도 함께 운영 중이라고 하네요. 플라스틱 자원들을 세척-분류하는 과정에서 어르신들의 수익도 창출하고 어르신들과 함께 관련 상품을 개발-판매하고 하고 있는데요. 재활용을 넘어 함께 살아가는 것에 대한 책임과 상생의 가치를 나누고 싶다고 합니다.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세대공감이 필수,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송명은 대표는 “청춘발산협동조합의 사례가 일반적이지는 않아서 공감을 얻기 어려울 수는 있다”면서도, “발산마을의 어르신들과 청년은 계속 소통하면서 서로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마을을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어가고 있다”고 말합니다. 청년들은 어르신들에게 삶의 지혜를 배우고, 어르신들은 새로운 에너지를 얻고 있다는데요. 덕분에 정서적으로도 좋은 관계가 형성된다고 하네요.
고령화로 인해 ‘세대공감’ 혹은 ‘세대통합’이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정된 기회와 자원의 분배 문제와 얽혀있기 때문인데요. 이런 측면에서 청춘발산협동조합의 사례는 시사하는 바가 많아 보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어르신과 청년이 서로를 충분히 이해하고 돌보는 공동체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어떤 정책이나 지원이 필요할까요?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청춘발산협동조합에게 응원과 격려의 메시지를 보내주셔도 좋습니다.
* 이 사례도 살펴보세요!
- 노년유니온 - 노인과 노인노동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할 때 (살펴보기)
- 러블리페이퍼 - 일하는 노인의 권리를 지켜주세요 (살펴보기)
- 청춘발산협동조합 - 다양한 세대가 서로를 돌보는 공동체 (현재 글)
- 주록리 지화자두드림 동호회 - 함께 돌보고 즐기는 공동체 만들기 (살펴보기)
- 경남산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 노인돌봄과 의료서비스, 그 중심에 지역공동체가 있다면 (살펴보기)
청춘발산협동조합의 이야기 잘 살펴보셨나요? 혹시 좀 더 많은 이야기를 듣고 싶지는 않으신가요? 관련해서 더 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지 않으신가요? 더 나은 사회를 위한 건강한 대화를 나누고 싶지 않으신가요? 여러분의 갈증 해소를 위해, ‘들썩들썩떠들썩 : 세상을 바꾸는 아이디어 축제’를 엽니다. 오셔서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하고 있는 다양한 지역과 공동체의 사례를 살펴보세요. 고령화 문제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공적연금 개편과 관련된 이야기도 나눌 수 있습니다.
들썩들썩떠들썩 : 세상을 바꾸는 아이디어 축제 위기의 시대, 우리가 살아남는 법 ① 함께 만드는 고령화 대응 방안
- 일시 : 2022년 11월 26일(토) 14:00~18:30
- 장소 : 하자센터 본관 2층 999클럽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신로 200)
- 참가대상 : ‘고령화’ 주제에 관심있는 시민 누구나(선착순 40명)
- 참가신청 : https://townhall.kr/m/3289
- 세부 프로그램
- 1부(14:00~17:35)
- 세션 1. 정책배틀 “고령화사회 대응을 위해 공적연금은 어떻게 개편되어야 할까요?”
- 함께 이야기 나누는 사람
-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금연구센터 연구위원
- 오건호 내가만드는복지국가 정책위원장
- 함께 이야기 나누는 사람
- 세션 2. 정책마켓 “고령화 극복, 이렇게 해봐요!”
- 함께 이야기 나누는 사람
- 고현종 노년유니온 사무처장
- 기우진 러블리페이퍼 대표
- 송명은 광주 청춘발산협동조합 대표
- 이혜옥 여주 주록리 지화자두드림 동호회 대표
- 황재홍 경남산청의료사회적협동조합 사무국장
- 함께 이야기 나누는 사람
- 세션 1. 정책배틀 “고령화사회 대응을 위해 공적연금은 어떻게 개편되어야 할까요?”
- 2부(17:35~18:30)
- 네트워킹 파티
- 1부(14:00~17:35)
코멘트
4노인분들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기여 할 수 있는 공동체들이 많이 늘어나면 좋겠습니다. 그것이 '지역'과, 그리고 '환경'과, 그리고 세대들간의 조화와 관련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청춘발산협동조합, 응원합니다!
세대가 공감하고, 함께하기 위해서는 결국 직접 만나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방법밖에 없다고 생각해요. 멀리서 보았을 때는 모두가 다른 생각을 가지고, 다른 삶을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다 같은 사람이라고 느껴지니까요. 함께 모인 공동체와 그 포용과 통합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어요.
이렇게 지역에서 사회의 안전망을 만들어가는 단체가 지속가능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단순히 사례집에 올라가는 사례가 생기고 금방 없어질 수도 있으니까요. '너희 밥벌이니 알아서 해야지'가 아닌, 사회적으로 가치가 있는 일이기에, 행정이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을 대신 케어해주고 있으니 이에 맞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르신들과 새로 정착한 청년, 예술가가 함께 힘을 합쳐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고 있다는 데에 눈이 갑니다. 단순히 공동체가 아니라 다양한 세대가 즐겁게 어울릴 수 있는 공동체를 형성해 낼 수 있다면 많은 분들이 행복해질 것 같네요. 앞으로의 활동이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