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안전·방재연구센터 연구위원은 오송 지하차도 참사가 결코 예측하지 못할 사고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부서마다 ‘폭우가 쏟아진다’ ‘제방이 무너질 수 있다’ ‘차량 출입통제가 필요하다’는 각각의 정보를 가지고 있었지만 이 정보들이 한곳으로 모여 종합적인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피해자의 신고로 상황을 파악하는 지경이 됐다. 현재 재난관리 상황에서 필요한 건 기술개발이 아니라, 이미 있는 기술로 얻은 정보들을 빠르게 한곳으로 모아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사고가 나서도 마찬가지다. 참사 피해자들은 문제 하나를 제기해도 이 부처, 저 부처로 책임을 돌리는 모습에 지쳤다고 말한다."
국가는 지켜주지 않는다.... 14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다친 대형 참사였던 오송 참사 1주기가 지나갔습니다. 하지만 피해자와 유가족들은 그간의 과정에서 국가는 국민을 보호하지 못했고, 그 때만 생각하면 치밀어오르는 감정을 추스르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국가가 국민을 보호하지 못한다면 국가가 존재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코멘트
3국가 제도에도 허점이 많은것 같습니다.
"이준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안전·방재연구센터 연구위원은 오송 지하차도 참사가 결코 예측하지 못할 사고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부서마다 ‘폭우가 쏟아진다’ ‘제방이 무너질 수 있다’ ‘차량 출입통제가 필요하다’는 각각의 정보를 가지고 있었지만 이 정보들이 한곳으로 모여 종합적인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피해자의 신고로 상황을 파악하는 지경이 됐다. 현재 재난관리 상황에서 필요한 건 기술개발이 아니라, 이미 있는 기술로 얻은 정보들을 빠르게 한곳으로 모아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사고가 나서도 마찬가지다. 참사 피해자들은 문제 하나를 제기해도 이 부처, 저 부처로 책임을 돌리는 모습에 지쳤다고 말한다."
국가는 지켜주지 않는다.... 14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다친 대형 참사였던 오송 참사 1주기가 지나갔습니다. 하지만 피해자와 유가족들은 그간의 과정에서 국가는 국민을 보호하지 못했고, 그 때만 생각하면 치밀어오르는 감정을 추스르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국가가 국민을 보호하지 못한다면 국가가 존재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